경제·금융 보험

보험사 CEO들 "코로나19 영향 2023년까지 지속 전망"

보험연구원 설문조사

/자료=보험연구원/자료=보험연구원




국내 보험사 최고경영자(CEO) 3명 중 2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이 2022~2023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세중 보험연구원 연구위원(동향분석실장)과 김유미 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1년 보험회사 CEO 설문조사’ 보고서를 6일 발표했다. 설문은 지난 7월 12∼27일 진행됐으며, 총 42명의 CEO 중 39명(생명보험 23명, 손해보험 16명)이 응답했다.

보험사 CEO들은 코로나19 종식과 경제 정상화 시점에 대해 66.7%가 1∼2년 이내라고 예상했으며, 30.8%는 3~5년은 더 걸릴 것으로 봤다. 경제정상화 이후 보험산업 전망에 대해서는 대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한 지난해 보험산업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차량 운행과 의료 이용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면서 자동차보험, 건강보험 등의 수익성 개선이 나타난 바 있다.



시중금리에 대해 보험사 CEO들은 대부분 상승 추세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평가했으나 상승폭은 소폭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금리 상승은 성장성보다는 수익성 측면에서 긍정적일 것이라고 응답했다.

관련기사



향후 3년 내 빅테크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대부분 보험시장의 일부 영역 진출에 그치거나(28.2%) 기존 보험사들과 공존하는 수준(61.5%)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디지털 플랫폼의 보험시장 진입 시 시장 지배력 남용과 데이터 및 기술 독점 문제를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사 CEO들은 MZ 세대의 부상이 향후 2~3년 내 보험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제한적(64.1%)이거나 미미한 영향(20.5%)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응답은 15.4%에 그쳤다.

향후 2~3년간 주력 상품전략으로는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모두 건강보험을 중심으로 한 개인 보장성보험을 꼽았다.

신사업 분야도 건강관리서비스, 간병 및 요양 서비스 등 건강과 관련된 사업 영역이 주를 이뤘다.

보험사 CEO들이 내년까지 우선순위에 두고 있는 분야는 디지털 전환, 판매채널 경쟁력 확보, 2023년 시행 예정인 국제회계제도 IFRS17 및 신지급여력제도 K-ICS 선제적 대응, 신상품 개발 등이었다. IFRS17과 K-ICS에 대해서는 77.0%가 잘 준비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