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이 에너지 대란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석유와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가격 폭등이 지구촌을 인플레이션발(發) 경제 위기로 밀어 넣는 일은 막아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미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으로 전방위적인 물가 상승이 나타나는 상황에서 에너지 대란은 글로벌 경제를 설상가상으로 내몰 수 있다. 이미 유럽연합(EU)은 에너지 세율 인하 등을 검토하고 나섰고 자원 대국인 미국과 러시아도 전력난을 완화할 묘수 찾기에 들어갔다.
美·러시아 일제히 시장 개입
6일(이하 현지 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에너지 관련 정부 관계자 회의를 주재하며 가스 추가 공급을 시사했다. 푸틴 대통령은 “시장에 가스 공급을 늘리는 것을 검토하라”며 러시아 국영 가스 기업인 가스프롬에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푸틴 대통령은 특히 “러시아는 늘 아시아·유럽 등 가스 소비국이 신뢰할 만한 공급처”라며 “가스 부족으로 곳곳에서 발생하는 투기 열풍은 누구에게도 이롭지 않다”고 강조했다.
러시아의 공급 확대 소식에 유럽 가스 시장은 일제히 안도했다. 전날 ㎿h당 116유로대로 급등했던 유럽 벤치마크 네덜란드 TTF 가격은 이날 108유로대로 7% 이상 하락하며 상승세가 꺾였다. 영국 가스 가격도 전날 ㎿h당 293유로에서 273유로로 역시 7% 가까이 떨어졌다.
조 바이든 미국 정부도 국제 유가 급등을 잡기 위한 방편으로 현재 6억 1,780만 배럴 규모로 쌓인 ‘전략비축유 방출’ 카드를 빼들 수 있음을 시사했다. 석유수출국기구와 러시아 포함 산유국 협의체인 OPEC+가 지난 4일 유가 상승에도 생산량 추가 확대를 거부하자 어쩔 수 없이 자구책을 들고 나온 것이다. 제니퍼 그랜홈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주최한 에너지 전환 전략 서밋에서 “바이든 정부는 전략비축유 방출을 포함해 모든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EU는 에너지稅 인하도 검토
중국 석탄 수입 업자들이 중국 당국의 수입 금지령에도 최근 호주산 석탄 수십만 톤을 현지 항구에 내리기 시작한 것도 ‘에너지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궁여지책이다. 당국의 서슬 퍼런 감시를 받는 석탄 업자들이 이 같이 나선 데는 당국의 암묵적 묵인이 있었기에 가능하다. 실제 중국 당국은 최근 자국 에너지 기업에 전력 확보 ‘총동원령’을 내릴 정도로 다급한 처지다. ‘세계의 공장’인 중국이 전기가 없어 공장을 돌리지 못하는 탓에 벌어지고 있는 글로벌 공급망 경색은 중국 정부로서도 타개해야 하는 상황이다.
가스 가격 급등에 당장 정치적 부담마저 커진 유럽은 해법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AP통신에 따르면 카드리 심슨 유럽연합(EU) 에너지 담당 집행위원은 이날 열린 EU 의회에서 “에너지 세율 인하, 에너지 빈곤층 직접 지원 등 에너지 위기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가장 시급한 우선순위는 에너지 빈곤으로부터 취약 계층을 보호하는 것” 강조했다.
프랑스와 스페인 등 EU 회원국들이 가스 확보를 포함해 에너지 위기 방책을 내놓으라며 압박하자 EU가 곧바로 후속 대응에 나선 것이다. 특히 급진적인 탈탄소 전략이 에너지 위기를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에 EU 차원에서 탄소 중립 속도 조절론이 급부상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폴란드와 헝가리 등 일부 회원국은 ‘탄소 가격 급등이 에너지 위기 주범’이라며 탄소 중립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EU 집행위에 책임을 묻고 있다.
IMF “올 가을이 인플레 정점”
하지만 이런 자구책이 에너지 위기에 대한 불안감을 잠재우기에는 아직 역부족인 게 사실이다. 가스의 경우 러시아가 공급 확대 조건으로 걸은 ‘노르트스트림2’ 가스관 승인은 현재 EU의 승인을 받지 못한 상태다.
이번 사태가 진정된 후 유럽 내에서 러시아 ‘에너지 무기화’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질 경우 사태가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황이다. 국제 석유 중개사인 PVM의 스테판 브레녹 연구원은 “올겨울 북반구를 덮칠 에너지 위기는 이제 시작일 뿐”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맞서 해법이 강구되고 있지만 난관이 첩첩산중이라는 의미다.
이와 관련,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날 공개한 보고서에서 선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가을 3.6%로 정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신흥국과 개발도상국 물가 상승률도 6.8%로 예상했다. 주택 가격과 공급 부족, 식품 물가 상승이 계속 인플레이션을 자극한다는 것이다. 다만 IMF는 “내년 중반은 돼야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물가가 돌아올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