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레고, 여아용·남아용 라벨 없앤다…"장난감에도 성 중립"

"성 고정관념 탈피…더 다양한 캐릭터·역할 제공하겠다"

지난달 28일 미국 뉴욕 한 레고 매장에서 고객이 쇼핑 후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지난달 28일 미국 뉴욕 한 레고 매장에서 고객이 쇼핑 후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장난감 기업 레고가 이용자 성별 구분을 없애고 성(性) 고정관념에서 자유로운 제품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12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레고는 그동안 자사 제품에 붙였던 '여아용', '남아용' 등 성별 표기를 담은 라벨을 떼고 성 중립을 표방하겠다는 성명을 냈다.

레고는 "어릴 적 편견을 없애려는 발전이 이뤄져 왔지만, 놀이와 창의적인 업무를 둘러싼 일반적인 태도는 여전히 불평등하고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늘날 여자아이들은 더 자신감을 갖고 모든 형태의 놀이와 창의적인 활동에 관여하고 있지만, 나이가 들면서는 사회에서 습득하는 성 고정관념으로 인해 제한을 받고 있다"고 이번 결정의 배경을 밝혔다.



한편 이번 결정은 성 고정관념에 대한 글로벌 설문조사를 거쳐 나왔다.

관련기사



7개국 약 7,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진 이번 조사에서 부모와 아이들은 여전히 성적 관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여자아이들은 성 규범의 경계를 넘는 활동에 남자아이들보다 더 높은 참여 의사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부모와 사회가 전형적으로 권장하는 것보다 다양한 종류의 창의적인 놀이에 열려있다는 것이다.

여자가 축구를 하고, 남자가 발레를 하는 것에 대해 '괜찮다'고 답한 여자아이는 전체 응답자의 82%였다. 이는 같은 문항에 대한 남자아이들의 응답률 71%와 비교되는 수치다.

레고는 앞으로 여자아이와 남자아이들이 환영받지 못하거나 자신이 대표되지 않았다고 느끼지 않도록, 더 다양한 캐릭터와 역할을 제공하도록 하겠다고 선언했다.

WP는 레고의 이번 결정이 장난감 놀이가 성 고정관념을 만들고 고착화한다는 논쟁이 가열된 가운데 나온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미 캘리포니아주는 장난감 판매점에 성 중립 진열대를 의무화하는 법을 마련했다. 이에 2024년부터는 대형마트에 장난감을 성별 구분 없이 한 곳에 진열해두는 성 중립 진열대가 의무적으로 설치될 예정이다.


윤선영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