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가 고평가 논란과 규제 이슈로 두 차례 상장이 미뤄졌던 카카오페이가 마침내 기업공개(IPO)에 나선다.
카카오페이는 20일 공모가 확정을 위한 기관 투자자 수요예측을 21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희망 공모가는 6만∼9만원, 공모 금액은 최소 1조200억원에서 1조5,300억원이다.
이를 기준으로 산출한 카카오페이의 예상 시가총액은 7조8,000억∼11조7,000억원이다.
카카오페이는 공모가 확정 후 이달 25∼26일 일반 청약을 받은 뒤 다음 달 3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일반 투자자의 공모주 청약은 삼성증권과 대신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4곳의 증권사를 통해 할 수 있다. 25~26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청약이 가능한데 청약 첫날인 25일에만 온라인 청약의 경우 오후 10시까지 가능하다.
카카오페이는 카카오에서 간편 결제와 금융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원래 카카오의 한 사업부였다 2017년 분사했으며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발판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최대주주는 지분 55%를 보유한 카카오로 중국 앤트그룹 계열 '알리페이 싱가포르홀딩스'의 지분율도 45%에 달한다.
카카오페이는 특히 국내 IPO 사상 처음으로 일반 청약자 몫 공모주 물량 100%를 균등 배정하기로 했다. 올 들어 도입된 균등배정 제도에 따라 공모주 물량의 절반 이상만 모든 청약자에게 똑같이 나눠주면 되는데 100% 균등배정을 택한 것이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선 카카오페이가 청약 성공을 겨냥해 '국민주 전략'을 꺼냈다는 분석이다.
카카오페이는 당초 카카오뱅크에 이어 8월 상장 예정이었으나 공모가 고평가 논란으로 금융당국의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를 받으면서 상장 일정이 9월 이후로 늦춰졌다.
이어 공모가를 기존 6만3,000원∼9만6,000원에서 6만∼9만원으로 낮추고 10월 상장을 시도했으나 9월 말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 전면 시행에 따라 일부 상품의 판매가 중단되면서 상장을 한 차례 더 연기해야 했다.
증권가에서는 카카오페이가 금융당국의 규제 걸림돌을 일단 해결했다고 보면서도 상장 이후 성장 가능성을 시장에 보여주는 것이 과제라고 보고 있다. 두 번의 상장 연기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과 최근 변동성이 큰 국내외 증시 환경도 카카오페이가 마주한 숙제다.
플랫폼 전반에 대한 규제 리스크가 여전해 상장 후 주가 흐름에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가 내달 카드 수수료 개편 방안을 발표할 예정인데 카드업계에서는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의 가맹점 수수료가 카드업계 대비 최대 3배 많다며 비판하고 있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공모가 관련해 올해 상반기 기준 순이익이 27억원으로, 연율화해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면서 "시장의 시선은 향후 성장에 주목할 것이기 때문에 상장 이후 본격적인 성장성을 증명하는 게 관건"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