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中, 반도체 첨단기술 '군침'…韓인재에 손 뻗친다

美 제재로 '반도체 굴기' 제동 걸리자

EUV·HKMG공정 전문가 대거 모집

韓 보유 차세대 기술 中에 내줄 수도





미국·일본·유럽 등 글로벌 강국들이 자국 중심의 반도체 가치사슬을 강화하는 가운데 중국이 최첨단 메모리 반도체 기술 인력 확보전에 나섰다. 극자외선(EUV)·하이케이메탈게이트(HKMG) 공정 등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최첨단 메모리 반도체 제조에 활용한 기술을 구현해 한국의 메모리 시장 주도권을 빼앗고 미국 등에 대항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이 과정에서 차세대 기술을 선도하는 한국 반도체 인재들을 중국에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CXMT EUV 전문가 채용 공고.CXMT EUV 전문가 채용 공고.



22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중국 메모리 업체인 창신메모리(CXMT)는 유력 채용 사이트에 EUV 기술 전문가를 채용한다는 공고를 올렸다. CXMT는 EUV 기술 가운데서도 웨이퍼 위에 회로를 찍어내는 데 필요한 필수 소재인 ‘마스크’ 분야 전문가를 찾고 있다. 회사는 공고에 “8년 이상 마스크 개발을 담당한 전문가를 찾는다”며 “EUV 마스크 기술에 친숙한 사람이 자격 요건”이라고 명시했다.

관련기사



EUV 기술은 웨이퍼 위에 빛으로 회로를 반복적으로 찍는 노광 공정 중에서도 최첨단 기술로 꼽힌다. 세계 1, 2위 D램 업체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메모리 반도체에 선도적으로 적용했다.

HKMG 공정 전문가를 모집하는 공고도 포착됐다. HKMG는 삼성전자가 올 3월 DDR5 D램을 발표하면서 업계 최초로 메모리 반도체에 적용한 공정이다. 반도체 회로가 좁아질수록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데 HKMG는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

중국은 현재 미국과의 극심한 무역 분쟁으로 EUV 등 최첨단 장비와 기술들을 현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없어 ‘반도체 굴기’ 실현에 제동이 걸린 상황이다. CXMT는 EUV나 HKMG 공정을 당장 도입해야 할 만한 기술 수준은 아니지만 격화하는 세계 반도체 패권 전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선제적 인력 확보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다수의 국내 반도체 회사 출신 반도체 엔지니어가 CXMT·양쯔메모리(YMTC) 등 중국 주요 메모리 업체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해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