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별세한 노태우 전 대통령은 새만금 개발을 위한 첫 삽을 뜨기도 했다. 새만금 사업은 전북 서해 앞바다(부안∼김제∼군산)에 방조제를 쌓아 여의도 면적의 140배가 되는 땅과 호수를 만드는 단군 이래 최대 역사로 평가받는다.
노 전 대통령은 1987년 대선을 앞두고 새만금 사업을 공약으로 발표했다. 1980년대 초 쌀 흉작으로 식량 안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자 바다를 메워 김제·만경평야처럼 광활한 농지를 확보하기로 한 것이다. 이면에는 전북 지역민심과 표를 공략하려는 정치적 판단도 작용했다.
당선 이후 정부가 1989년 새만금종합개발사업의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1991년 12월전북 부안군 새만금 1공구 착공에 돌입하면서 본격적인 사업이 시작됐다. 방조제를 쌓아 2만8,300ha의 농경지와 1만1,800ha의 담수호 등 총 4만100ha를 개발한다는 새만금 사업의 출발점이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이후 새만금 사업을 둘러쌓고 크고 작은 잡음이 불거졌다. 1996년 시화호 오염사건의 영향으로 1999년부터 약 2년간 공사를 멈춰야 했고, 2003년에는 환경단체가 법원에 방조제 공사 집행정지 소송을 제기하는 바람에 사업은 또다시 중단됐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개발 방향은 춤추듯 흔들렸다. 노무현 정부 시절 농지와 비농지 비율을 7대 3으로 했던 토지 이용계획이 이명박 정부 때 3대 7로 바뀌면서 머리와 꼬리가 뒤집혔다. 박근혜 정부는 한·중 경협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는데, 토지를 산업용지, 국제협력용지, 관광·레저용지, 농생명 용지, 배후도시용지, 생태환경용지 등 6개 지구로 나눔으로써 사실상 농업 중심의 개발 계획을 폐기했다. 문재인 정부는 새만금에 세계 최대 수준의 신재생에너지 단지를 조성하려 하고 있다. 새만금에 육상태양광 0.7GW, 수상태양광 2.1GW, 풍력 0.1GW, 연료전지 0.1GW 등 총 3GW 규모의 발전시설을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설치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