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SK이노 "전고체 배터리 개발"…美 솔리드파워에 350억 베팅

차세대 배터리 공동 개발·생산 협약

리튬이온 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 구현

28일 대전 환경과학기술원에서 이성준(왼쪽)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과 더그 캠벨 솔리드파워 CEO가 업무협약서를 들어보이고 있다.28일 대전 환경과학기술원에서 이성준(왼쪽)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과 더그 캠벨 솔리드파워 CEO가 업무협약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이 미국 솔리드파워와 손잡고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전고체 배터리 기술 선도 기업인 미국 솔리드파워에 3,000만 달러(약 353억 원)를 투자하고 공동으로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생산하기로 하는 협약식을 맺었다고 28일 밝혔다.

관련기사



솔리드파워는 SK이노베이션 외에도 포드·BMW 등으로부터 투자 받으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솔리드파워는 이미 미국 콜로라도주 루이빌에 위치한 본사에서 시험 생산 라인을 갖추고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과 고체 전해질을 생산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적용되는 액체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대체한 것으로 화재 위험이 크게 감소한다. 또한 배터리 무게와 부피도 줄어들어 리튬이온 배터리가 갖고 있는 용량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등 장점이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우선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니켈·코발트·망간(NCM) 양극재와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한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나선다. 이를 통해 통상 리튬이온 배터리 에너지 밀도에 비해 약 33% 뛰어난 성능을 구현한다는 전략이다. 같은 크기 배터리를 전기차에 탑재한다고 가정할 때 한 번 충전으로 700㎞를 달릴 수 있던 전기차가 930㎞를 주행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양사는 특히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 설비에서도 생산할 수 있도록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기로 했다. 추가적인 설비 투자를 최소화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함이다. 가격경쟁력은 물론 양산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