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탄소 중립 위해 수소환원제철 기술 꼭 필요…정부 지원해야”

대한상의 7차 미래산업포럼


철강업계의 탄소 중립을 위해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이 꼭 필요한 만큼 정부가 다양한 지원책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5일 개최한 ‘제7차 미래산업포럼’에서 발제를 맡은 정은미 산업연구원 본부장은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에 획기적인 진전이 없다면 철강업계의 온실가스 추가 감축 여력이 크지 않다”며 “대규모 투자와 리스크를 고려하면 정부가 적극적인 세제 혜택과 금융지원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은 2019년 기준 1억1,700만톤으로 국가 전체 배출의 16.7%, 산업 부분의 30.0%를 차지한다. 포스코는 앞서 지난 9월 열린 ‘수소환원제철포럼’ 기자간담회에서 “2050년까지 그린철강을 실현하는데 최대 40조원이 들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변영만 한국철강협회 상근 부회장은 “해외 주요국은 산업계의 탄소중립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활발한 기금 조성 등의 정책을 추진 중”이라며 “우리 정부도 정부 차원의 기금 조성, 신성장 원천기술 세액 공제 확대, 배출권 거래제 개선 등을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도 “철강산업의 탄소중립 추진에는 고난도 기술개발과 대규모 시설투자 등 어려운 과제들이 많아 기업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면서 “철강업계가 도전적인 탄소중립 목표를 세우고 지속적으로 실천해 나갈 수 있도록 정부에서 과감한 정책 지원을 펼쳐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양제철소 4도금공장 7CGL 설비에서 생산된 기가스틸이 코일 형태로 감겨있다./사진 제공=포스코광양제철소 4도금공장 7CGL 설비에서 생산된 기가스틸이 코일 형태로 감겨있다./사진 제공=포스코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