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李-尹, 이것이 약점]李'대장동'·尹'고발사주'에 발목…잦은 '설화'는 곤혹

與·野, '수사 리스크'에 '후보 지키지' 사활

李 '탈시장 정책'- 尹 '비전 제시 실패'도 약점

2030세대·중도층 공략 실패…표심 확보 난항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연합뉴스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맞붙을 상대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로 확정되면서 여야는 모두 ‘후보 지키기’에 사활을 걸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는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으로, 윤 후보는 고발수사 의혹과 아내 김건희 씨의 주가 조작 의혹 등으로 ‘수사 리스크’를 안고 있다. 두 후보 모두 잦은 실언으로 20·30세대와 중도층 표심을 얻지 못하고 있는 점도 약점으로 꼽힌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는 모두 검찰 수사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이 후보는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측근으로 분류되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이 구속됐고, 또 다른 측근인 정진상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비서실 부실장 등과의 연루 가능성 등이 제기된다. 윤 후보 역시 고발 사주 의혹과 부인 김건희 씨의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의혹, 국민대 논문 표절 의혹 등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다. 특히 이들 사건은 국민들의 반감이 큰 부동산과 공정 등의 문제와 관련돼있어 검찰과 고위공직자수사처(공수처)의 수사가 진행됨에 따라 대선 판세가 요동칠 우려가 크다.

관련기사



이날도 대검찰청 감찰부가 고발사주 의혹과 관련해 윤 후보의 검찰총장 시절 대변인의 공용 휴대폰을 압수했다는 보도가 나오자 김병민 윤 후보 캠프 대변인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이는 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후보를 흠집 내기 위한 것으로 대검과 공수처의 불법적이고 추악한 관권 선거”라며 즉각 반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후보도 지난 5일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힘 방해를 뚫고 천신만고 끝에 공익 환수한 성남시 배임 수사한다면서 시시콜콜 수사내용 흘려 흠집 내는 것이 이해가 안 된다”며 “윤석열 측의 대출비리 묵인과 부친 집 매각, 하나은행의 범죄적 설계, 국힘 인사들의 민간개발 강요와 부정자금 수수에 수사를 집중하길 바란다”고 검찰에 대한 불만을 표시했다.

두 후보의 정책적 한계도 중도층 표심 이탈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윤 후보의 경우 구체적인 정책 비전이 없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된다. 예로 이번 대선의 ‘스윙 보터’로 꼽히는 청년층 공약에서도 윤 후보는 ‘민간이 중심이 되고 정부가 돕는 경제생태계 복원’ 등의 공약으로 디테일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저소득 청년에 월 50만 원 청년도약보장금을 지급하는 지원책 등도 파급력이 부족했다는 평가다. 반면 이 후보의 공약은 ‘기본시리즈’로 눈에는 띄지만, 부동산 등 주요 정책에서 반시장적 성향이 강해 대중성을 확보하기에 힘들 수 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두 후보가 중도층과 청년층으로의 지지세력 확장을 위한 정책과 공약 개발에 초점을 맞춰야 대선 승리에 한 발짝 더 가까이 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이번 대선은 중도를 누가 많이 끌어들이는지가 승리공식”이라고 조언했다.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