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선별지원금 반짝 효과…가구 소득 8% 늘었다

■통계청, 3분기 가계동향

月 소득 472만9,000원으로

소득격차도 5.3배 최저수준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1년 3·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1년 3·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1인당 25만 원의 국민지원금 덕에 가계소득이 역대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상위 12%에게는 주지 않은 선별 지원에 소득 하위 20%(1분위)와 상위 20%(5분위) 간 소득 격차(5.3배)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축소됐다. 경기회복이 아닌 재정에 의한 인위적인 소득 증가인 만큼 효과가 사라지는 4분기에는 소득 격차가 다시 벌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명목소득은 472만 9,000원으로 전년 대비 8% 증가했다. 지난 2006년 관련 통계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증가 폭이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저소득층의 증가율이 높았다. 소득 1분위 가구(하위 20%)의 월평균 소득은 114만 2,000원으로 21.5% 증가했다. 2분위와 3분위, 4분위 가구의 소득은 각 12%, 8.6%, 7.6% 늘었다. 5분위는 1,003만 7,000원(5.7%)으로 증가율이 가장 낮았다.

관련기사





분배 격차를 보여주는 분기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전년 동기 대비 0.58포인트 하락한 5.34배로 다소 완화됐다. 2006년 통계 작성 후 3분기 기준으로 가장 낮은 수준이며 고소득자를 제외한 선별 방식의 재난지원금 덕에 1분위 소득이 상대적으로 더 증가한 영향이다. 다만 정부 지원금(공적이전소득)을 배제한 시장 소득 기준 5분위 배율은 11.93배로 1년 전 13.08배보다 개선됐으나 여전히 격차가 컸다. 정부 지원에 의한 일회성 소득 증가임에도 문재인 대통령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글을 공유하며 “우리 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말했다.

가계소득이 늘어나는 데는 이전소득 증가에 기댄 측면도 크다. 가구당 월평균 이전소득은 80만 4,000원으로 전년 대비 25.3% 늘었다. 9월 지급한 재난지원금 효과로 정부 지원금 등의 공적이전소득은 30.4% 증가했다. 9월 추석이 있어 용돈 등 사적이전소득도 전년 동기 대비 13.4% 늘었다.

근로소득은 295만 4,000원으로 6.2% 늘었다. 취업자가 같은 기간 57만 명 늘어나고 임금(4.2%)도 오른 영향이다. 사업소득은 88만 5,000원으로 3.7% 증가했다. 명절 효과와 소비 심리 회복으로 가계 소비지출도 10년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월평균 소비지출은 254만 4,000원으로 1년 전보다 4.9% 증가했다.


세종=김우보 기자·세종=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