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지역 병상을 활용하겠다는 정부의 대책에 의료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인공호흡기·에크모(체외막산소공급장치)와 같은 장비의 도움을 요하는 중증 환자는 이송과정의 위험이 지나치게 높아 절대 불가하다는 반응이다. 갑작스럽게 악화되는 코로나19 질환 자체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송 중 사망하거나 이송된 병원에서 사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에크모와 인공호흡기를 달고 있는 환자를 이송하는 건 결코 쉽지 않은 문제다"라며 "수많은 의료진이 동원돼야 하고 이송 중 악화될 위험성이 높아 서울 안에서도 이동이 쉽지 않다"고 못박았다.
이날 정부가 내놓은 해결책에는 구체적인 중증도 분류 기준이 언급되지 않았다. 하루 얼마 만큼의 의료인력이 동원돼야 하는지도 산정되어 있지 않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앞서 대한중환자의학회는 '코로나19 환자의 산소요구량이 분당 5L 수준까지 낮아지면 중환자실 케어를 받지 않아도 된다'는 내용이 담긴 의견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양쪽 코에 얇은 관을 꽂아 귀에 걸어놓고 낮은 산소 농도를 주입하는 비강캐뉼라나 산소마스크를 사용해도 될 정도로 코로나19 환자의 증상이 호전되면 준중환자실 등으로 이동을 고려해도 좋다는 의미다. 임상의사가 환자의 컨디션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할 문제지만, 준증환자실 병상이 추가 확보되고 이동이 가능해지면 중환자실 가동에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발표대로 중증도가 낮아진 환자를 1시간 이내 이송 가능한 비수도권 병상으로 배정한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이송과정에 필요한 장비와 인력 수급이 여의로울지는 미지수다.
박성훈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19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질환의 특성상 음압격리가 필요하고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사실은 동일하다"며 "준중환자실 역시 일반 병동보다 많은 간호인력이 투입돼야 하기 때문에 현장의 부담은 여전히 높다"고 토로했다. 이어 "수도권에서 비수도권 지역으로 이송한다고 했을 때 환자와 보호자가 받아들일지에 대해서도 우려스럽다"며 "진료현장의 의견을 취합하고 국민의 동의를 얻는 과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수도권 지역 코로나19 중증 환자 전담병상 가동률은 78.2%다. 687개 중 537개를 사용하면서 80%에 육박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 환자 수는 3,034명으로 사흘째 3,000명 대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