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이와중에 獨 물가 상승 29년來 최대…유럽도 금리인상 시기놓고 고심

■'O의 공포' 통화정책 딜레마

獨, 석유값 뛰며 11월 CPI 5.2%↑

유럽 전역 물가 상승 속 변이 변수

신흥국 자금 조달 차질 가능성도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유럽중앙은행(ECB) 본부. /로이터연합뉴스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유럽중앙은행(ECB) 본부. /로이터연합뉴스




물가가 폭등하고 있는 유럽 각국도 코로나19 신종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변수까지 겹쳐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놓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독일 통계청은 29일(현지 시간)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동월 대비 5.2%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1992년 6월(5.8%) 이후 최고치다. 라인란트팔츠주의 경우 난방유와 휘발유 등 석유 가격이 51.9% 치솟는 등 에너지와 식품 가격이 상승을 주도했다.
물가가 오른 것은 독일만이 아니다. 유로존(유로화를 사용하는 19개국) 전반에서 물가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 전날 발표된 11월 스페인과 벨기에의 소비자물가도 공히 5.6% 올랐다. 11월 유로존 CPI 역시 4.5%(전망치)다. 유럽중앙은행(ECB)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2%)의 두 배 이상에 이르는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나타난 오미크론은 물가 상승세를 가속화하면서 경제성장을 가로막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오미크론 확산에 따라 공급망 문제가 심화되면서 물가가 오르는 한편 여행·쇼핑 등 민간의 소비 활동이 둔화해 경제성장이 제한될 것이라는 얘기다. 실제 신용 평가사 무디스는 “이미 공급망 혼란과 물가 상승, 노동력 부족이 세계경제에 부담이 되는 상황에서 오미크론이 세계경제 성장과 물가에 리스크가 되고 있다”며 “연말 여행·쇼핑 성수기의 소비 수요에도 오미크론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이렇게 될 경우 각국 중앙은행은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둔화 추세인 경제에 찬물을 끼얹을까 우려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신용 평가사 피치는 “오미크론 확산은 물가 상승을 불러와 거시경제 대응을 복잡하게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오미크론의 영향으로 시장 전반에 위험 회피 성향이 커질 경우 신흥국의 자금 조달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있다. 무디스는 “백신 접종률이 낮은 국가와 관광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국가, 재정·통화정책 여력이 부족한 국가들이 가장 큰 피해를 볼 것”이라고 전망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