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내년 청년정책 예산 2배로 증액

일자리 629억·주거 613억 투입 등

5대 분야 116개 사업에 1,819억

부산시청 전경. /사진 제공=부산시부산시청 전경. /사진 제공=부산시




부산시가 내년 청년정책 예산을 올해보다 2배 이상 늘려 맞춤형 청년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21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내년도 청년정책 예산 1,819억 원을 편성하고 116개 사업을 추진한다. 일자리 분야에 청년정책 예산의 34.5%를 차지하는 629억 원을 편성하고 주거 분야에 613억 원을 투입한다. 교육 분야 246억 원, 복지·문화 분야 293억 원, 참여·권리 분야 38억 원도 편성했다.



시는 올해 예산인 825억 원보다 배 이상 늘어난 예산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서 주거지원과 자산형성 등 26개 사업을 새로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내년에 처음 시행하는 ‘청년 자산형성지원’에 67억 원을 투입, 청년 4,000명의 매월 저축액을 1대 1로 연계 지원해 소득이 불안정한 청년의 미래 자산형성을 지원한다.

관련기사



또 ‘신용·부채 관리 등에 대한 전문 상담 지원’에 3억 원을 편성한다. 사회 초년생인 청년들의 신용 및 자산관리를 빈틈없이 지원해 청년이 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지역에서 활동하는 청년공동체를 발굴하고 네트워크 활동 등을 지원해 지역 활성화를 유도하는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도 신규 사업으로 기대되는 사업 중 하나다.

청년 거버넌스 활동의 거점인 청년센터를 중심으로 청년정책 워크숍, 부산청년주간 등을 열어 능동적으로 청년들이 정책에 참여하도록 돕고 부산 청년들의 삶의 현황 및 변화 양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부산 청년 패널사업’도 새롭게 추진한다. 올해 시범사업으로 추진해 참여 청년들의 만족도가 높았던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도 확대 추진한다. 심리상담의 문턱을 낮춰 청년 감수성에 맞는 상담체계를 구축해 청년들에게 맞춤형 심리상담 및 정신건강과 연계한 심층상담을 병행 지원할 예정이다.

주거 안정성 강화를 위해 청년 전·월세 중개수수료 지원사업도 새로 추진한다. 이와 함께 청년의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 추진해 왔던 전세 임차보증금 이자,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료 등도 확대 지원한다. 월 20만 원을 지원하는 청년 월세 특별 지원사업에 95억 원, 역세권 등 교통편의 지역에 ‘청년 맞춤형 공적 임대주택 공급’에 387억 원 등을 편성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내년도 청년정책은 그간 추진해온 정책의 안정화와 내실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청년의 생활 밀착형 사업 위주로 중점 추진할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