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빅테크 압박에…알리바바 인터넷 의료상조도 ‘OUT’

중국 저장성 항저우의 앤트그룹 본사 모습. /로이터연합뉴스중국 저장성 항저우의 앤트그룹 본사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정부의 압박에 알리바바의 인터넷 의료비 상호부조 서비스가 운영을 중단한다. 중국 정부가 기존 질서를 뒤흔드는 핀테크(금융기술)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빅테크들의 사업 영역이 점점 축소되고 있다.



29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알리바바의 핀테크 계열사인 앤트그룹는 전일 의료비 상조 플랫폼인 ‘샹후바오(相互寶)’의 운영을 내년 1월 28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앤트그룹은 “상조 서비스 사업이 지난 1년동안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고 설명했다.

2018년 출시된 샹후바오는 중국의 뒤떨어진 의료 시스템에서 틈새시장을 발견해 성장해 온 서비스다. 원리는 간단한데 샹후바오 가입자들이 서로 의료비가 필요한 사람을 돕는 방식이다. 일반 보험 상품처럼 정해진 기간 미리 일정한 금액을 내고 약정된 보장을 받는 방식이 아니라 가입자 중 의료비가 필요한 사람이 생기면 그때그때 가입자들이 돈을 갹출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일종의 온라인 클라우드 펀딩인 셈이다.



샹후바오 출시 첫해 가입자들이 각자 낸 평균 지급액은 29.17위안(약 5,400원)이었다. 이후 가입자 부담액이 점차 오르기는 했지만 연간 최대 부담액은 188위안(약 3만원)으로 제한됐다.

관련기사



이 상조 서비스는 공공 의료보험의 혜택을 누리기 어려운 중국의 서민층과 지방 소도시 거주자들 사이에서 특히 인기가 많았다. 현재 샹후바오의 가입자는 1억여명으로, 이 서비스를 통해 의료비 지원을 받은 가입자들은 지금까지 약 17만9,000명에 달한다.

이러는 가운데 기존 의료보험 산업에 타격이 커지면서 중국 당국이 메스를 가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당국은 이 서비스를 금융 및 의료 통제권 밖의 ‘유사 보험’으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앞서 메이퇀의 메이퇀후주(美團互助), 바이두의 덩훠후주(燈火互助) 등 10여개 대형 인터넷 의료비 상조 서비스도 운영을 중단했다.

작년 10월 알리바바 창업자인 마윈이 공개 석상에서 당국의 핀테크 규제를 ‘낡은 규제’라고 정면 비판한 이후 중국 당국의 압박이 본격돠됐다. 중국 당국은 금융 안정, 반독점, 자본의 무질서한 확장 반대 등 명분을 앞세워 전면적인 빅테크 규제에 나선 상태다.

중국 은행감독관리위원회(은감위)는 지난해 “모든 온라인 금융 활동은 규제 기관의 감독과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밝힌 상태다. 로이터통신은 “상호부조 서비스는 은감위의 라이선스가 없다”고 전했다.




베이징=최수문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