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시그널] "금리 더 오르기 전 실탄 충전"…BBB서 AA기업까지 회사채 발행 러시

[연초부터 5조 발행…회사채 시장 후끈 ]

대선·인플레 등 국내외 변수 많아

1년 전보다 금리 1%P 높아도 발행

'2배 증액' 자금 조달 계획 기업도

하이트진로·NS쇼핑 등 만기 늘려

'차입 장기화'로 재무 구조 안정 나서





기업들이 연초부터 저신용·우량 등급에 상관없이 모두 회사채 발행에 나서며 시장이 문전성시를 이루는 것은 시중금리 상승이 올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기업을 둘러싼 국내외 불확실성은 코로나19 3년 차에 대선과 미중 갈등,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으로 예측을 불허할 만큼 크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이미 회사채 금리가 1년 전보다 1%포인트 이상 올랐지만 미리 현금을 챙기려는 수요가 커 회사채 투자 수요가 연중 가장 많은 ‘1월 효과’를 그나마 기대하며 가능만 하다면 채권 발행을 두 배까지 늘려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기업어음(CP) 발행으로 조달한 단기성 자금을 장기로 돌려 재무구조를 최대한 안정시키려는 기업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달 국내 기업들이 발행하는 회사채는 BBB급 저신용에서 AA급 우량채에 이르기까지 약 5조 원에 달한다. 한국은행이 오는 14일 열리는 새해 첫 금융통화위원회부터 기준금리(1.00%)를 올릴 가능성이 제기되고 올해 최소 두 번 이상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이라는 전망에 기업들이 현금 확보를 서두르는 것이다.

마침 지난해 12월 상대적으로 일찍 ‘북 클로징’으로 투자를 마감했던 기관이나 펀드가 연초에 넉넉한 실탄을 바탕으로 싼값에 회사채를 담으려 하는 것도 이점이다. 회사채는 금리가 오르면 발행 기업은 부담이 커지지만 가격이 떨어지기 때문에 투자 매력은 높아질 수 있다. 회사채 3년물(AA-등급 기준) 금리는 1년 전만 해도 연 1.38%였는데 지난해 말 연 2.41%로 1%포인트 이상 오른 상태다.

이에 따라 BBB급인 현대로템(064350)(BBB+)과 두산(000150)(BBB)이 11일과 13일 수요예측에 나서며 올해 첫 회사채 발행에 나선다. 대한항공(003490)(BBB+)과 한진(002320)(BBB+)도 이달 20일과 30일 각각 3,000억 원과 700억 원 규모의 회사채를 모집할 예정이다.



자금 마련이 절실한 이들 기업은 연초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엔지니어링 등 시장의 관심이 높은 기업공개(IPO)가 예정돼 공모주 우선 배정을 노리는 하이일드펀드 운용사들이 저신용 회사채를 매입하려는 수요도 감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저신용 기업의 자금 조달을 돕던 정부의 기업 유동성 지원 기구(SPV)가 지난해 말 운영을 종료했는데, 회사채 스프레드(국고채와의 금리 차이)는 크게 벌어져 신용 등급이 낮은 기업들은 시장의 우호적 여건을 최대한 활용하는 모습이다.

관련기사



회사채 스프레드는 지난달 28일 61.8bp(1bp=0.01%포인트)로 코로나19 여파가 극심하던 지난 2020년 6월의 78bp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스프레드 확대는 통상 기업들의 자금 조달 환경이 위축됐음을 뜻한다.

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연초 회사채 금리가 크게 높아지면서 그만큼 가격은 낮아졌기 때문에 기관뿐 아니라 리테일 투자 수요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여 기본 발행 물량들은 소화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기존 사채의 상환 자금이 필요한 A급 기업들도 잇따라 자금 조달에 나선다. CJ프레시웨이(051500)는 이달 말 만기가 돌아오는 1,000억 원 규모의 회사채 차환을 위해 13일 수요예측을 단행한다. 조달 금리는 3년 전의 2.534% 대비 적잖이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매년 회사채 시장을 찾아 현금을 확보하고 있는 한솔제지(213500)(A)도 18일 1,000억 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시간이 갈수록 회사채 발행 여건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해 차입 구조 장기화에 나선 기업들도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영업수익이 떨어져 회사채 발행이 부담스럽던 하이트진로홀딩스(000140)(A-)는 500억 원을 조달해 이달 말 만기가 돌아오는 500억 원의 CP를 상환할 계획이다. 하림산업과 하림USA·글라이드 등 실적이 악화한 자회사 지원 부담이 커진 NS쇼핑(A)도 다음 달부터 갚아야 하는 9개월짜리 단기자금을 2~3년 만기 회사채로 갈아타기로 했다.

LG상사에서 이름을 바꾼 LX인터내셔널(AA-)도 계열 분리 후 첫 공모 회사채를 발행한다. 20일 시장에 나서 2,000억 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만기는 최대 7년으로 늘렸다. 올해 갚아야 하는 약 1,400억 원의 대규모 자금을 선제적으로 조달하는 만큼 차입 구조를 장기화해 안정성을 높이려는 것으로 보인다.

롯데렌탈(089860)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채권을 발행해 투자 자금 확보에 속도를 낸다. 18일 수요예측을 거쳐 2,500억 원을 확보할 계획인데 수요만 있다면 당초 예정의 2배인 5,000억원까지 발행 규모를 늘릴 계획이다.

이와 함께 현대제철(2,500억 원)과 SK브로드밴드(1,000억 원), KCC글라스(344820)(1,500억 원), 대상(1,300억 원), LS일렉트릭(1,000억 원), 현대위아(011210)(1,500억 원) 등 다수의 AA급 기업이 이달 회사채 발행을 예고한 상태다. 현대제철도 투자 수요가 많을 경우 발행 물량을 5,000억 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신한지주(AA-)와 하나지주(AA-) 역시 각각 최대 6,000억 원과 4,000억 원의 금융채 발행을 준비 중이다.

김은기 삼성증권 연구원은 “과거에도 연말 회사채 스프레드 확대 폭이 클수록 1월 효과가 힘을 발휘해 기관들의 매수세가 이어졌다” 면서 “최대한 빨리, 조금이라도 낮은 금리로 회사채를 발행하는 기업 수요가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민경 기자·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