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김총리 "방역은 정치적 타협 대상이 될 수 없어"

방역 관련 공직자에겐 변화와 혁신 주문해

김부겸 국무총리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부 시무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김부겸 국무총리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부 시무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김부겸 국무총리가 코로나19 방역과 관련 공직자에게 변화와 혁신을 주문했다. 또 올해 대통령선거 등이 열리는 점을 고려해 “방역은 정치적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김 총리는 3일 코로나19 중대본회의에서 이 같은 올해 방역 기조를 밝혔다. 김 총리는 “백신을 통해 우리가 코로나를 거의 따라잡았다고 생각하고 있을 때, 오미크론이 속도를 내면서 저 멀리 달아나고 있는 형국이다. 다시 격차를 좁혀 따라잡으려면 기존 방역체계를 혁신해야 한다”며 더 빠르고 강해진 방역체계를 주문했다. 그는 이어 “방역 당국은 기존의 관행과 규정에 얽매이지 말고, 새로운 상황에 맞는 방역전략을 마련해달라”며 “역학조사와 진단검사, 그리고 치료역량 전반을 더 빠르고, 기민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전면적으로 개편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에게는 자율과 책임의 중요성을 설파했다. 김 총리는 “오미크론 위기도 ‘자율과 책임’ 방역으로 분명 이겨낼 수 있다”며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실천해 달라”고 주문했다. 또 공동체 구성원 모두에게 ‘연대와 협력’의 정신을 발휘해달라고 제안했다. 그는 “대구시민의 자발적 방역, 수차례의 해외교민 이송과 수용, 착한 임대인 운동 등 이미 ‘연대와 협력’ 정신을 우리는 실천해오고 있다”며 “올해도 국민 여러분이 힘들 때마다 서로 격려하고, 고통받는 이웃을 따뜻한 마음으로 보듬어 줄 것을 다시 한번 요청한다”고 언급했다.

또 올해 대통령선거, 전국동시지방선거 등이 열리는 해인 점을 고려해 방역이 정치적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김 총리는 “자칫,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방역이 흔들리지는 않을까 걱정하는 국민들이 많이 있다”며 “하지만, 방역은 우리 가족과 이웃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이기 때문에, 결코 정치적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언급했다. 이어 “이럴 때일수록 전국의 공직자들은 중심을 바로 잡고, 방역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를 경계해달라”고 요청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