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삼성서울병원, 저커버그 재단 인간세포지도 사업 연구 참여

박웅양 교수팀, '인종 다양성 네트워크 프로젝트' 중 아시아인종 담당

일본·싱가포르 연구진과 세포 유전체 분석·면역세포 프로파일링

삼성서울병원 유전체연구소 박웅양 교수/사진 제공=삼성서울병원삼성서울병원 유전체연구소 박웅양 교수/사진 제공=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은 유전체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박웅양(사진) 교수 연구팀이 챈 저커버그 재단(Chan Zuckerberg Initiative)이 지원하는 ‘인종 다양성 네트워크 프로젝트(Ancestry Network)’에 참여한다고 5일 밝혔다.

관련기사



챈 저커버그 재단은 페이스북 창업자인 마크 저커버그와 부인 프리실라 챈이 설립한 재단이다. 지난 2016년부터 인간세포지도(HCA, Human Cell Atlas) 사업을 통해 사람의 모든 인체 조직에서 세포 수준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는 글로벌 협력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인간 세포에 대해 표준화된 오믹스(유전체 정보) 및 위치정보 지도를 작성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인간 세포의 다양성을 이해함으로써 질병 발병 기전과 진단, 새로운 치료방법 등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종 다양성 네트워크 프로젝트는 인간세포지도 사업의 신규 프로젝트다. 인종별 단일세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유전적 요인이 질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내기 위해 기획됐다. 전 세계 총 31개국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박 교수팀은 싱가포르, 일본 연구진과 함께 아시아 인종에 대한 면역학적 다양성에 대해 연구할 예정이다.

박웅양 교수는 “최첨단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을 이용한 면역세포 프로파일링을 통해 인간의 생리 및 병리학을 고해상도로 이해할 수 있다”며 “한국인의 유전적 특성이 건강과 질병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핵심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정밀의학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