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은 “美 연준 조기 긴축 배경엔 임금·물가 복합 상승”

조기 은퇴 등에 구직자 우위 시장 형성

임금·물가가 상화연쇄적 상승 가능성 제기

LA항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들. 트럭 운전사 구인난이 물류대란에 영향을 주고 있다. /AP연합뉴스LA항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들. 트럭 운전사 구인난이 물류대란에 영향을 주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b·연준)이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통화정책 정상화를 추진하면서 긴축에 나선 배경에는 임금과 물가가 서로 영향을 주면서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임금과 물가를 높이는 요인이 서로 강하게 영향을 주면서 물가·임금의 상호연쇄적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미국 노동시장의 최근 특징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물가·임금 상승률의 공통 요소 간 상관계수는 지난해 1~10월 0.70으로 지난 2020년 3~10월 0.65보다 높아졌다. 일정 부문에 국한된 특이 요소와 달리 공통 요소는 전 산업에 해당하는 경제 전체적 여건을 말한다. 임금과 물가가 특이 요소가 아닌 공통 요소로 인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최근 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으로 한 단계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이러한 현상은 최근 미국 노동시장이 구직자 우위로 형성되면서 나타난 몇 가지 특징에 기인한다는 설명이다. 먼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고용 회복이 과거보다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다. 지난 11월 퇴직자가 사상 최대인 452만 7,000명을 기록하는 등 역사적 수준의 자발적 퇴직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조기 은퇴하거나 더 나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퇴직하고 있다. 임금 상승률도 금융위기 이후인 2010~2014년엔 평균 2.0%를 기록한 반면 지난해 1~11월 평균 3.9%를 기록하는 등 예년보다 높은 상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미국의 임금과 물가 상승세는 과거보다 수준이 높을 뿐 아니라 산업과 품목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물가에 대한 관심도 지난해와 달리 인건비 비중이 높은 서비스요금 상승으로 옮겨갈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은은 이러한 분석 결과를 봤을 때 올해 금리 인상을 시사한 미 연준의 적기 정책대응이 더 중요해졌다고 봤다. 한은 관계자는 “임금·물가의 지속적인 상승 가능성은 공급 측면의 일시적 물가압력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수요 측 물가압력 증대에 대한 통화정책의 적절한 대응 여부에 달려 있다”라고 했다.

지난 5일(현지시간) 공개된 미 연준의 FOMC 의사록에도 이러한 문제의식이 담겼다. 일부 연준 이사들은 생산성 증가를 초과하는 지속적인 실질임금 증가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임금·물가 역학(wage·price dynamics)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미국과 달리 노동시장의 수급 불균형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임금 측면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크지 않다는 것이 한은의 기존 견해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