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서해안을 관광 메카로… 충남도, 제2서해대교 본격 추진

충남도,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 마무리…안섬포구∼남양호 8.4㎞ 해저터널 제시





충남도가 서해한 관관벨트를 대한민국 관광산업의 메카로 육성하기 위해 제2 서해대교 건립에 속도를 낸다. 상습 정체를 빚는 서해대교의 교통량을 분산하고 소외된 지역의 교통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충남도는 제2 서해대교의 최적 노선과 건설 방식에 대한 연구용역을 마무리하고 당진시 안섬포구에서 경기 화성시 남양호에 이르는 8.4㎞ 구간을 해저터널과 접속도로로 잇는 방안을 최적 노선으로 11일 제시했다.



도는 이번 용역에서 △당진 석문국가산단∼화성 궁평항 18.9㎞(1안) △당진 성구미포구∼화성 봉화교차로 16.2㎞(2안) △당진 안섬포구∼화성 남양호 8.4㎞(3안) △당진 한진포구∼서평택IC 사거리 10.6㎞(4안)까지 해상교량·해저터널 4개 노선을 비교 검토했다. 해양수산청, 해양경찰청, 군부대 등 관계기관과 도 자문위원 의견 수렴 방식으로 연구용역을 진행한 결과 3안이 경제성·교통성·시공성·안전성 등에서 가장 유리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관련기사



이 노선은 총연장 8.4㎞ 중 7.48㎞를 해저터널로 조성하고 나머지 구간을 접속도로로 연결한다. 평택당진항을 오가는 대형 선박의 잦은 입출항과 해군 군사작전 수행, 교량으로 건설했을 경우 기상 악화 시 서해대교와 동시에 통제받을 수 있는 상황 등을 감안했다. 도는 3안으로 해저터널을 건설하면 국도77호선 당진시 송악읍 고대리에서 화성시 우정읍 이화리까지 이동 거리가 기존 46.4㎞에서 8.4㎞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4개안 중에서 총사업비는 7,458억 원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전망됐고 하루 통행차량은 2만 9,436대에 달할 것으로 추정돼 가장 많았다. 경제성 분석(B/C) 결과도 0.87로 나타나 기획재정부가 실시한 ‘제5차 국도국지도 건설 계획’ 일괄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사업의 평균 B/C 값인 0.76보다 높은 수준이다.

지난 2000년 개통된 서해대교는 상습적으로 정체가 발생하고 있고 강풍이나 낙뢰 등 자연재해, 대규모 교통사고 등 재난 발생 시 차량을 전면 통제할 수밖에 없어 이를 우회할 대체도로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하루 평균 통행 차량은 8만 9,329대로 이미 포화 상태이며 주말·피서철에는 교통 체증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이 때문에 서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국도 77호선 거리 단축과 도로 연계성 향상, 충남 서북부 산업단지 물류비 절감 및 신규 산단 유치 등을 위해 제2 서해대교의 건립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

충남도 관계자는 “‘제2 서해대교’ 건설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선 오랜 기간 노력이 필요하지만 220만 도민의 역량이 결집하면 조속한 시일 내에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국도77호 노선 지정 및 국도·국지도 건설 국가계획 반영과 민자 유치 등 제 2서해대교 사업의 본격적인 추진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홍성=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