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 “방역 강화론 오미크론 감당 못해”…다음주 거리두기 일부 완화 가능성

14일 중대본 회의서 발표 예정

6인 모임·자정 영업 등도 거론

지난 6일 오전 서울역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연합뉴스지난 6일 오전 서울역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연합뉴스





방역 당국이 오는 17일부터 현재 사회적 거리 두기의 큰 틀은 유지하지만 일부 세부 방침을 완화할 계획이다. 이달 안에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 우세종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아 기존의 강력한 거리 두기 방역 체계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장(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은 12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존의 엄격한 방역 체계와 제한적인 의료 대응 체계로는 오미크론 대유행을 감당할 수 없다”고 밝혔다. 오미크론이 폐렴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적지만 확산 속도가 빨라 기존 의료 대응 방법으로는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오 위원장은 “K방역은 코로나19 초기에는 적절했으나 백신 접종 이후에는 부적절하다”며 “방역의 벽을 낮추고 일상 진료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의료 현장의) 방역은 피해 최소화와 사회 기능 유지를 목표로 해야 한다”며 “오미크론이 (코로나19 유행 속) 넘어야 할 마지막 고비가 될 것으로 2개월이 채 걸리지 않을 것 같다”고 예상했다.

이 같은 의료계의 의견을 고려할 때 다음 주부터 사회적 거리 두기가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도 12일 정례 브리핑에서 “지표상 방역 상황이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오미크론 등 낙관적으로 볼 수 없는 위험한 지표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방역 조치의 완화 또는 조정 여부, 어디에 우선순위를 둘지에 대해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비롯한 각계의 의견을 듣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17일부터 마스크를 상시 착용해 감염 위험성이 낮은 일부 시설에 대한 방역 조치가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 또 ‘6인 사적 모임’ ‘자정까지 다중이용시설 영업 허용’ 등도 거론된다. 정부는 14일 거리 두기 조정 여부를 발표한다.

김성태 기자·왕해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