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매매를 평형(유닛)별로 분석한 결과 절반 이상이 기존 최고 가격에 미치지 못하는 가격에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고점에 대한 인식과 대출 규제 등으로 관망세가 확대되면서 매수자가 신고가 이상으로 매수하는 데 부담을 느낀 것으로 분석된다.
19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서비스 업체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에서 매매된 아파트 평형은 모두 789개로 이 가운데 최고가 이상(최고가 또는 최고가 초과) 금액으로 거래된 평형은 370개(46.9%)에 그쳤다. 이는 개별 가구 기준이 아닌 단지 내 동일 평형 단위로 분석한 결과다. 단지 내 동일한 평형에서 몇 차례 거래가 있었는지와 관계없이 해당 평형의 거래가 발생했다면 그중 최고가 거래가 있었는지를 파악한 것이다.
이 같은 비중은 금융권의 대출 제한이 본격화하기 직전인 지난해 7월의 74.3%와 비교할 때 27.4%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당시 거래된 3,216개 평형 중 2,390개가 최고 가격 이상에 거래됐다. 특히 지난해 11월까지만 해도 최고가 이상에 거래된 아파트 평형의 비율은 57.4%로 절반을 넘었는데 12월 들어 절반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
자치구별로 보면 상대적으로 고가 지역일수록 최고가 거래가 많았다. 강남구에서 최고가 이상 거래된 평형이 29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강서구(28개), 서초구(26개), 마포구(25개), 양천구(22개) 순이었다. 반대로 그동안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2030세대의 수요가 높았던 노원구나 은평구는 순위가 내려갔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금리 인상에다 금융권 여신 강화, 고점 인식 등이 맞물려 지난해 11~12월 거래량이 크게 감소한 데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 부동산 정책이 변할 가능성이 있어 관망하는 수요가 많다”며 “거래 적극성이 떨어지다 보니 최고가 경신 비율도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올해는 서울 내에서도 지역별로 수요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함 랩장은 "한국은행이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인상한 데 이어 올해 추가로 올릴 수 있고 집값 부담도 여전해 수요자들이 입지를 선별해 매입하면서 지역별 양극화가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