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명지병원 "보건소 중심 기존 방역 지휘체계로는 오미크론 대응 불가”

25일 코로나 명지대첩 2주기 기념 심포지엄 개최

오미크론 우세종 전환후 5~10만 명 발생 시 보건소 마비 가능성

1차 의료기관 참여하는 지역단위 현장 중심 방역체계 확립 필요성 제기

명지병원은 지난 25일 ‘몰려올 오미크론에 대비하라’는 주제의 온라인 심포지엄을 열어 전문가들과 토론 자리를 마련했다./사진 제공=명지병원명지병원은 지난 25일 ‘몰려올 오미크론에 대비하라’는 주제의 온라인 심포지엄을 열어 전문가들과 토론 자리를 마련했다./사진 제공=명지병원




델타 변이보다 2배 이상 강력한 전파력을 지닌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되면서 방역체계 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5~10만 명까지 발생할 경우 보건소 중심의 기존 방역체계로는 환자 치료 시스템이 마비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명지병원은 지난 25일 ‘몰려올 오미크론에 대비하라’는 주제의 온라인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토론에는 최강원 명지병원 감염내과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명지병원 이왕준 이사장과 김인병 코로나상황실장(응급의학과), 이기덕 감염내과 교수, 서용성 재택치료센터장(심장내과), 이종구 서울대 의대 교수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



이날 토론 참가자들은 정부가 2월 초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최대 2~3만 명 발생할 것이란 예측을 내놓은 데 대해 최대 5~10만 명 발생 가능성을 열어놓고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관련기사



이왕준 이사장은 “확진자 폭증에 대비해 검사, 진단이 아닌 환자 관리와 대응에 대한 문제를 고민해야 할 시기”라며 “역학조사, 환자이송, 지원체계 등 보건소가 모든 시스템을 관리하는 현재의 방역체계로는 업무 과부하가 불가피하다. 보건소 직원들이 감염될 경우 전체 방역 시스템이 마비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1차 의료기관까지 참여하는 지역단위 의료현장 중심의 방역체계 거버넌스를 확립하고, 각 영역별 자율권을 충분히 보장하는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종구 서울의대 교수 역시 “전염병 관리와 의료 관리가 동시에 이뤄지는 초유의 사태에서 거버넌스가 질병관리청, 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체 등 관 중심에서 1차 의료기관을 포함한 의료현장으로 대폭 위양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3차접종이 ‘기본 접종’이란 원칙 아래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을 끌어올려 고위험군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2000년부터 학생들에게 홍역 예방접종 확인서를 받는 것처럼 학생들의 코로나 예방접종률을 높여서 학교에서의 유행을 줄이는 등 엔데믹에 대한 방안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명지병원 재택치료센터 운영을 총괄하고 있는 서용성 교수는 “현재의 재택치료는 방역 측면에서의 자가격리의 한 방편"이라며 “코로나19 확진 환자에 대한 제대로 된 진료는 막혀있는 ‘재택 모니터링’ 수준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자가격리로 인한 코로나19 환자의 불안함을 해결하는 동시에 기존 의료체계를 보호하려면 대면진료 방식도 대폭 개편돼야 한다는 게 서 교수의 견해다. 서 교수는 ”팍스로비드의 효율적인 처방과 정확한 환자상태 진단 등이 가능한 방문 및 외래 등의 대면진료 활성화와 이를 위한 이동수단 지원, 해당 병원 등에 대한 지원책 마련도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명지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장을 맡고 있는 김인병 교수는 응급의료체계에 대한 정책적 대안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교수는 “델타 변이 출현으로 8~9명의 확진자가 일시에 응급실로 오는 상황에서 응급실의 일반 환자 진료를 중단해야 하는 상황도 겪었다”며 “감염병 중심의 현 의료체계로 인해 필수적인 응급의료체계가 철저하게 소외되고 있다. 응급의료체계에 대한 정책적 대안 없이는 일반 응급 환자들에게 필수적인 의료 서비스가 무너질 수 있다”고 말했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