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올해 中企 노동·작업환경 개선에 최대 80% 지원

노동환경 개선사업이 끝난 기숙사 내부 모습.노동환경 개선사업이 끝난 기숙사 내부 모습.




경기도는 올해 도내 31개 시군과의 협력을 통해 총 214억원 들여‘소규모 기업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이 사업은 중소기업들이 경영활동에 전념하도록 시군과 협력해 각종 기업애로를 해소하는 사업으로 기반시설 개선, 노동환경 개선, 지식산업센터 노동환경 개선, 작업환경 개선 등 4개 분야로 이뤄진다.

기반시설 개선 분야는 중소기업 밀집지역의 도로 확·포장, 상하수도, 소교량 등 경영 관련 기반시설을 정비하는 사업이다. 노동환경 개선은 종업원 200명 미만 제조기업에 기숙사, 식당, 화장실(샤워실·세탁실 포함), 휴게공간 등의 설치와 개·보수를 지원하는 분야다.



지식산업센터 노동환경 개선 분야는 준공 후 10년 이상 지난 도내 지식산업센터를 대상으로 주차장(주차설비 포함), 화장실, 노후 기계실 설비, 소방시설 등의 개·보수를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관련기사



작업환경 개선은 종업원 50명 미만 영세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바닥·천장·벽면, 작업대, 환기·집진장치, LED조명, 소방시설 등 작업공간을 개·보수하는 비용을 지원하게 된다.

최종 선정된 지원 대상업체는 분야에 따라 총 사업비의 70%를 지원받을 수 있다. 다만 10인 미만 영세기업의 경우에는 자부담 비율을 10% 낮춰 80%까지 사업비를 지원한다.

특히 올해 사업에서는 코로나19로 촉발된 비대면 경제 시스템 확대 추세를 고려, 화상회의실 구축, 무선화재감지기 설치, 컨베이어 작업대 구축 등 중소기업 디지털화에 필요한 지원을 신규로 추가해 지원한다.

류광열 경기도 경제실장은 “올해는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에서 기업 자부담 비율을 30~40%에서 20~30%로 낮추고, 노동환경 분야 기숙사 건립 지원한도액을 3,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상향하는 등 중소기업의 재정부담 경감과 인력난 해소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