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80조 '지자체 금고' 錢의 전쟁

올 서울 등 91곳 금고계약 만료

수성vs탈환 놓고 금융권 각축

7조 지역상품권 경쟁도 가열

지난 2019년 1월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청금융센터 개점식에서 당시 참석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연합뉴스지난 2019년 1월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청금융센터 개점식에서 당시 참석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연합뉴스




금융기관들이 올해 시도금고 예산 81조 원, 지역페이 발행금 7조 원 등 90조 원에 가까운 지방자치단체 자금을 놓고 사운을 건 대전에 들어간다. 서울시 등 지자체 금융 파트너 자리를 빼앗거나 빼앗기는 제로섬 게임인 만큼 각 사는 가용 경영 자원을 총동원해 일전을 벌일 태세다.



28일 행정안전부의 ‘지자체 금고 지정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말 계약 기간 만료를 앞둔 곳은 총 91곳(일반회계 기준)이다. 이 중 광역자치단체는 서울·인천·경북·경남·세종 등 5곳이다. 이들 5곳의 올 한 해 예산만 81조 원에 달한다. 특히 약 44조 원인 수도 서울이 ‘최대어’로 꼽힌다. 서울시청은 지난 2018년 이후 4년 만에 금고지기 교체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르면 다음 달 차기 사업자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를 낼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86개 기초자치단체 금고 가운데는 서울 25개 구청, 경기 10개 시군, 인천 7개 구청 등 수도권 물량이 알짜로 분류된다.

관련기사





금고은행이 되면 세입금 수납 및 세출금 지급을 도맡으며 유휴 자금을 보관하게 된다. 이런 예치금은 사실상 조달 비용이 ‘제로(0)’여서 은행 예대율(예금 잔액 대비 대출 잔액 비율)에 도움이 된다. 대출 이자 경쟁력이 높아질 뿐 아니라 지자체 공무원과 그 가족, 산하 기관을 잠재 고객으로 확보할 수도 있다. 이 같은 이점 때문에 은행들은 지자체 금고를 유치하기 위해 막대한 협력사업비(출연금)를 써내고 있다. 2017~2021년 5대 시중은행이 지자체에 낸 출연금은 총 1조 447억 원에 이른다. 나간 돈을 채우려 은행들이 시민의 편의보다는 부대 수익 창출에 골몰하는 부작용이 우려되는 이유다. 금융 당국은 과열 경쟁으로 흐르지 않는지 예의 주시하겠다는 입장이다.

최근에는 지자체가 발행하는 지역사랑상품권 판매·운영 대행에 눈독을 들이는 금융사도 많아졌다. 연초부터 시도별 판매 실적 상위 1~3위인 경기·인천·부산이 나란히 업무 대행사를 선발하고 있다. 모두 서너 개 컨소시엄이 응찰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행안부에 따르면 2020년 총 판매액은 경기(2조 5100억 원) 인천(2조 4945억 원) 부산(1조 2385억 원) 등의 순이다.


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