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지난달 산 냉장고가 또 최신형"…LG전자, 도발적 시도 성공하나[UP가전 단상]

가전이 나를 바라보기 시작했다…LG전자 UP가전

단순 업데이트 아닌, 신기능이 추가되는 업그레이드 진행

SW·HW 모두 지속적인 개선추구 “계속 새 제품처럼”

교체수요 감소 우려도…LG전자 “만족은 결국 수요로 이어져”

류재철 LG전자 H&A 사업본부장이 25일 UP가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류재철 LG전자 H&A 사업본부장이 25일 UP가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




“가전제품은 살 때 무조건 최신형으로 사야한다. 어차피 사고 나면 구형이 되니까!”



가전을 구입하고자 마음 먹은 분들이라면 이런 이야기를 한 번 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머리 속에 콕 박혀있는 이 생각에 도전장을 낸 회사가 있습니다. 바로 LG전자입니다.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로 사용하면서도 진화하는 가전, ‘UP가전(업 가전)’이 그들이 내세운 신무기입니다. 그렇다면 기존의 가전하고 어떤 부분이 다른 것일까요? 단순히 가전을 컨트롤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보완하는 차원이라면, 거창하게 업 가전이라는 별도 이름을 붙일 필요는 없겠죠.

이에 대한 힌트는 지난 25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찾아보겠습니다. 당시 류재철 LG전자 H&A 사업본부장(부사장)은 “업 가전은 끊임없이 진화하며 내 삶을 더 편하게 만드는 가전이자 쓰면 쓸수록 나를 더 깊이 이해하고 내게 맞춰주는 가전”이라며 “사는 순간 구형(舊型)이 되는 가전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류 부사장은 업그레이드가 진행되는 분야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를 아우른다고 강조했습니다. “업 가전은 선택적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다. 한 방향으로 이뤄졌던 기존의 업데이트와는 다르다”고 부연했죠.



LG전자가 선보이는 UP가전이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모습/사진 제공=LG전자LG전자가 선보이는 UP가전이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모습/사진 제공=LG전자




류 부사장이 설명한 계획들은 어떻게 구현될까요. 좀 더 설명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날씨나 옷감의 종류에 딱 맞는 건조를 원하는 고객은 업 가전인 트롬 건조기 오브제컬렉션을 사용할 경우 섬세한 의류관리가 가능해진다고 합니다. 제품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건조정도가 기존 5단계에서 13단계로 확장되는 것이죠. 기기 자체를 바꿔주는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모듈이나 액세서리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변화가 이뤄질 전망입니다.

관련기사



또 하나의 사례로 언급된 것은 세탁기에 추가할 수 있는 펫케어 기능이었는데요. 펫케어 전용 필터나 건조볼 같은 액세서리를 구입하면 기존 세탁기 모델도 애완동물의 털 빠짐에 대응할 수 있는 세탁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요. 물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세탁기에 추가되는 4중 안심헹굼 기능, 트루스팀 기능 등도 추가된다고 합니다. 일부 프리미엄 모델에서만 제공됐던 기능이 업 가전 업데이트를 통해 보다 많은 소비자들이 향유할 수 있게 됐다고 LG전자는 설명합니다. 세탁 코스가 끝날 때 나오는 멜로디도 소비자가 원하는 것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고 하네요.

류재철 LG전자 H&A 사업본부장이 25일 UP가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류재철 LG전자 H&A 사업본부장이 25일 UP가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LG전자


핵심 가전인 냉장고도 업 가전만의 기능이 있다고 합니다. 소비자가 냉장고 야간 눈부심 방지 기능을 업데이트를 하면 조명 밝기를 2단계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밤 늦은 시간에 냉장고 문을 열었을 때 조명이 너무 밝으면 눈이 부실 때가 있는데, 이걸 방지하겠다는 것이지요. 모든 가전을 음성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음성제어 기능도 추가될 전망입니다. 소비자를 배려하는 섬세한 기능들이 추가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LG전자 관계자는 이에 대해 “스마트홈 플랫폼 씽큐 앱에 연결해서 쓰는 기존 제품은 사용하면서 느꼈던 불편사항을 보완하는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데 그쳤다면, 업 가전은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차원의 ‘업그레이드’라며 가전 시장의 판도를 완전히 바꾸는 시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판매가격이 올라가거나 하는 일은 없을 거라고 덧붙였죠.

하지만 가전을 많이 팔아야 하는 회사로서는 이러한 시도가 정말 그들에게 좋은 선택일까요? 만약 LG전자가 당차게 목표한 대로, 소비자가 업데이트만으로 계속해서 새 제품을 쓰는 경험을 누릴 수 있다면 굳이 가전을 새로 사려고 할까요? 현명한 소비자들은 절약을 선택하고, 지갑을 닫으려 하지는 않을까요? 하지만 LG전자의 답변은 ‘아니오’입니다.

LG전자 관계자는 “가전을 하나 사서 10년, 15년 사용하는 소비자라면 업가전도 기존과 크게 다르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제품에 대한 만족이 이어지면 신제품에 대한 기대 역시 높고, 기기를 바꾸는 수요도 유지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마치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이들이 전화 통화나 인터넷 사용에 전혀 문제가 없지만 빠르면 1년마다 신제품으로 교체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죠. “좋은 기능을 최대한 제공해서 최대한 많은 고객가치를 확보하겠다”는 목표도 덧붙였습니다. 이 대목에서는 LG전자가 앞으로 선보일 가전제품에 대한 자신감이 엿보입니다.

류 부사장도 간담회에서 미래의 가전 교체수요를 억제하는 부작용이 있을지 모른다는 우려에 이렇게 말했습니다. “고객에 집중하자는 결론은 같다. 결국 고객이 가치를 인정해준다면 어떤 형태로든 우리 사업에 도움이 되는 방향이라고 판단한다”고 말이죠. LG전자의 도전적인 실험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흥미롭게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