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동십자각] 소통 귀찮아하는 대통령 그만 봤으면

윤경환 정치부 차장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열겠습니다. 주요사안은 직접 언론에 브리핑하겠습니다. 퇴근길에 시장에 들러 시민들과 격의 없는 대화를 나누겠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2017년 5월 10일 취임사다. 5년이 지난 지금, 문 대통령은 약속을 하나라도 지켰을까. 부끄러운 고백을 하자면 11개월간 청와대를 출입한 기자조차 문 대통령과 직접 말을 섞은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운도 없었지만 기회 자체가 극히 적었다. 지난해에는 방역이 빌미가 돼 주요 참모들의 얼굴도 보기 힘들었다. 유영민 대통령비서실장은 벌써 8개월가량 춘추관에 발길을 끊었다. 지난해 2월 기자실 첫 방문 때 “앞으로 자주 오겠다”던 그의 장담은 그저 허언(虛言)이었다.



청와대는 심지어 문 대통령에게 질문할 마지막 기회였던 신년 기자회견도 돌연 취소했다. 오미크론 대응이 이유였지만 1월 23일~2월 3일 대통령의 공개 일정은 26일 내부 회의와 30일 현장 방문이 전부였다. 중동 순방 기간 확진자가 발생한 사실은 동행 기자들도 정확히 몰랐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의 소통 실적은 역대 대통령들과 비교해도 처참한 수준이다. 문 대통령은 지금껏 국민과의 대화를 2번, 국내 기자회견을 7번 가졌다.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150여 차례)은 물론 이명박 전 대통령(20여 차례)보다도 기자회견·브리핑 수가 적다. 4년만에 물러난 박근혜 전 대통령(5차례)과 비슷하다. 야당 시절 박 전 대통령을 최전선에서 비판했음에도 말이다.

대통령 지시 상당수는 ‘서면 브리핑’ 속에 있다. 기자들은 친정부 성향 방송이나 페이스북에서 비서관들이 쏟는 말로 대통령의 의중을 짐작한다. 국민들이 박 전 대통령 기저효과로 ‘불통(不通)’에 이미 익숙해진 게 그나마 다행이다.

9년째 낯가리는 대통령을 겪은 국민들은 차기 지도자에 대해서도 기대를 접은 듯하다. 서울경제·한국선거학회가 지난달 11~13일 조사한 결과 ‘국민과 소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60.9%,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50.7%에 달했다. 가족 의혹 변명과 포퓰리즘 정책, 광화문 집무실 공약 따위를 그대로 믿을 국민은 많지 않다.

대통령의 주 역할는 국정 문제를 스스로 책임지고 국민들을 끊임없이 설득·포용하는 일이다. 청산해야 할 적폐는 반대세력이 아니라 불통 그 자체다. 박 전 대통령이 탄핵된 이유도, 5년 만에 정권 교체 요구가 늘어난 이유도 모두 지도자의 폐쇄성에 있다. 소통을 귀찮아 하는 대통령은 왕과 다를 바 없다. 신비주의는 충성 지지자들에게만 통한다. 차기 대통령은 국민의 갈증에 반드시 호응할 준비가 된 사람이길 바란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