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네이버·카카오로 신속항원검사 기관 정보 확인하세요

달라진 코로나19 검사 체계 적용

PCR 검사소와 구분해 정보 제공





네이버와 카카오(035720)가 검색과 지도 서비스에서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RAT) 기관 정보를 제공한다. 최근 달라진 코로나19 진단·검사 체계에 따라 기존 유전자증폭(PCR) 검사소 정보에 더해 신속항원검사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것이다. 새 코로나19 검사 체계에서는 앞으로 고위험군이 아닌 일반 감염의심자는 신속항원검사나 자가검사키트를 통해 양성 판정이 나야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검색과 지도에서 ‘신속항원 검사’, ‘신속항원 검사병원’ 등을 검색하거나 검색창 아래 ‘신속항원검사’ 버튼을 누르면 신속항원 검사를 받을 수 있는 병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검색 결과에서 ‘신속항원검사기관’, ‘PCR 검사기관’, ‘선별진료소’,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등 유형별로 정보를 선별해 볼 수 있는 필터도 있다. 카카오맵도 검색창에 ‘신속항원 검사’를 직접 검색하거나 검색창 하단의 ‘신속항원검사’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선별진료소, 임시선별검사소,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호흡기전담클리닉 등 검사 가능한 기관을 한번에 보여준다. 필터 기능은 없지만 검색 결과 뜨는 각 검사소 리스트 별로 어떤 검사가 가능한지 알 수 있다.

관련기사



네이버는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공하는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정보’를 활용하고, 카카오맵은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공개된 api와 중앙사고수습본부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활용한다.

박현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