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지역 초미세먼지 '이온성분' 가장 높아

공장지역 발생 황산화물 배출 영향 추정

울산석유화학공단 전경. /사진제공=울산시울산석유화학공단 전경. /사진제공=울산시




울산지역 초미세먼지(PM-2.5) 구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이온성분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보건환경연구원은 야음동 미세먼지 성분분석측정소를 통해 2021년 한 해 동안 분석한 초미세먼지(PM-2.5) 구성 성분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구성 성분 분석 내용은 황산염, 질산염 등의 이온성분 8종, 유기탄소 등 탄소성분 3종, 철 등 중금속성분 19종 등 총 30종이다.

관련기사



분석 결과, 초미세먼지 구성 성분 비율은 이온성분 48.4%, 탄소성분 15.5%, 중금속성분 6.1% 순으로 2차 생성오염물질인 이온성분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는 직접 배출보다는 2차 생성을 유발하는 간접 배출의 기여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온성분은 황산염이 36.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질산염 32.1%, 암모늄염 23.7% 순으로 나타났다. 울산시가 타도시에 비해 공장 지역에서 발생하는 황산화물의 배출량이 많기 때문에 초미세먼지의 이온성분 중 황산염 비중이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의 경우 자동차 등 이동오염원에 의한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많아 질산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연구로 울산시 초미세먼지의 상당 부분이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2차 생성에 의한 결과로 확인이 됐다”라고 밝혔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이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관리를 강화하고, 소규모 사업장 노후 방지시설 교체 지원 등의 사업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