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스트 코로나 대응 골든타임…신성장동력 발굴 절실"

장상현 인베스트코리아 대표 인터뷰

스마트 의료분야 유치도 확대

비대면 투자 컨설팅도 나설 것

장상현 인베스트코리아(Invest KOREA) 대표장상현 인베스트코리아(Invest KOREA) 대표




“외국인 투자 유치로 글로벌 공급망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예정입니다”



14일 장상현 인베스트코리아(Invest KOREA·IK) 대표는 외국인 첨단산업 투자유치 전략을 소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인베스트코리아는 코트라(KOTRA)의 외국인 투자유치 전담 기구다.

장 대표는 지금이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할 골든 타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글로벌 투자 여건의 불확실성, 전 세계적인 글로벌 가치사슬(GVC) 재편 움직임 등 코로나19 이후로 각국의 외국인 투자 유치 경쟁이 심화하는 등 대외 여건이 악화하고 있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의 투자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성장동력 발굴이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한 세부 추진 과제로는 △K-뉴딜·소부장 등 맞춤형 외투유치 △지역연계 외투유치 플랫폼 고도화 △외투유치 인프라 선진화를 제시했다.



구체적인 추진 계획도 내놨다. 장 대표는 “외국인 투자를 통한 첨단산업의 세계 공장화 촉진과 공급망 안정 대응책을 실행 중”이라며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외국인 투자유치(IFDI)와 해외투자진출(OFDI)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외국인투자유치의 경우 주력산업인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의 원천기술 보유국인 미국 등과 상호 공급망 강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해외투자진출은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품목의 인수합병(M&A) 매물 발굴과 계약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는게 장 대표의 설명이다.

유턴 기업 유치에도 힘을 쏟는다. 장 대표는 “공급망 취약 품목과 연관된 유턴 기업 유치로 공급망 리스크에 대응하려 한다”며 “특히 첨단 업종과 수요기업 및 협력사의 연계형 유턴을 중점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장 대표는 신성장동력 창출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미래 신산업 분야의 글로벌 투자 지원을 강화하려 한다”며 “탄소국외감축 협력국인 베트남, 미얀마 등서 그린에너지 프로젝트 경영권 확보를 지원하고 첨단 바이오 의약품과 스마트 의료 분야의 투자유치도 확대하려 한다”고 계획을 밝혔다. 그린에너지 프로젝트는 경영권 매물을 인베스트코리아가 발굴하고 관련 설명회와 상담회를 열게 된다.

장 대표는 외국인투자유치가 지역경제 활성화화 지역인재 채용에도 일조할 수 있다며 비수도권 투자 유치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코트라와 지자체, 경제자유구역청(FEZ), 국내기업 간 협업을 통해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비수도권 외국인투자를 유치하고 외투기업의 채용 활동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장 대표는 “효율적인 외국인 투자유치 업무 수행을 위해 관련 프로세스 및 시스템인 △외국인투자 통계 시스템 △잠재투자가 발굴 시스템 △온라인 투자유치 상시 매칭 플랫폼 △비대면 투자 컨설팅 등의 디지털 전환 등을 통해 투자절차를 개선할 방침”이라며 “외투기업에 대한 지원 등 투자환경 개선과 사후지원 강화에도 주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