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김우규 한국 머크 대표 "반도체·OLED 소재 국내 공급망 확충에 방점…R&D도 강화"

머크, 2025년까지 8300억원 한국에 투자

반도체 EUV 린스액 상반기 내 양산…첨단 반도체 소재 투자 확대

첨단 OLED 소재 개발도 한국서 이뤄져

김우규 대표 "한국 고객사 개발 시간 단축·공급망 확대 위한 측면 지원"

김우규 한국 머크 대표. 사진제공=머크김우규 한국 머크 대표. 사진제공=머크




"올해 한국 머크의 주요 목표는 국내 반도체·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 생산 능력 강화입니다."



김우규 한국 머크 대표는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회사의 국내 생산 능력이 크게 향상되는 한해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머크는 독일에 본사가 있는 세계적인 화학 소재 기업이다. 설립 350주년이 훌쩍 넘은 이 기업은 각종 원천 기술과 제조 노하우로 특히 전자 소재 분야에서 강한 면모를 띄고 있다.

머크는 한국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상당히 중요한 파트너 회사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굴지의 반도체 기업과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 세계적인 디스플레이 회사에게 제품 생산에 필요한 필수 화학 소재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한국 내에서 머크가 실행 중인 적극적 행보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이 성장 흐름에 맞춰 국내 생산 능력과 연구개발(R&D) 역량 강화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카이 베크만(오른쪽) 머크 일렉트로닉스 CEO와 김우규 한국머크 대표가 머크 시화 사업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머크카이 베크만(오른쪽) 머크 일렉트로닉스 CEO와 김우규 한국머크 대표가 머크 시화 사업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머크



머크는 지난해 말 2025년까지 한국에만 6억유로(약8300억원)를 쏟아부어 국내 생산 역량을 끌어올리겠다는 파격적인 투자를 발표했다. 이미 확보된 경기 평택, 안성, 안산 공장 및 R&D 설비를 중심으로 신규 인프라 투자에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공급망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해외 의존도가 높은 핵심 화학 소재를 내재화하며 국내 업계가 한층 우려를 덜 수 있게 됐다.

관련기사



반도체 재료 사업의 경우 이미 머크가 확보한 전·후공정 소재 대부분을 한국에서도 생산할 수 있다. 특히 공정 중 박막 형성(증착)에 필요한 화학 소재, 특수 가스 생산 능력이 뛰어나다. 이 분야의 국내 생산 능력이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국내에서 강점을 지닌 향후 5년 간 증착용 소재와 특수 가스 생산 능력 강화 위주로 투자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 머크의 평택 R&D 기지 K-ATeC 전경. 사진제공=한국머크한국 머크의 평택 R&D 기지 K-ATeC 전경. 사진제공=한국머크


한국 머크는 신규 제품 생산 라인과 R&D 인력 확충 등으로 차세대 반도체 기술 대응에도 분주하다. 특히 반도체 제조사가 집중하고 있는 첨단 공정인 극자외선(EUV) 기술에 대응하는 신소재 양산도 임박했다. 김 대표는 "EUV 노광 공정 이후 부산물을 씻어내는 EUV 린스액은 고객사 승인 작업이 예정대로 이뤄지고 있어 상반기 내 국내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머크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EUV용 하드마스크와 차세대 전구체(프리커서), 화학적기계연마(CMP) 공정에 필요한 각종 성능 '업그레이드' 소재를 국내 인력들이 활발하게 연구 중이다. 김 대표는 "생산 설비 확충과 함께 원료 다변화를 위해 국내 기업들과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디스플레이 소재 분야에서는 한국의 주력 제품인 OLED 패널용 소재 생산에 방점을 찍는다.

특히 머크는 지난 2020년 250억원을 투자해 평택 OLED 소재 제조 시설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이 작업이 순조롭게 이뤄져 조만간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머크가 주력했던 대형 OLED 패널용 소재 외에도 중소형 OLED 분야까지 생산 범위를 확대해 고객사를 측면지원한다.

김우규 대표는 한국은 전략적으로 가장 중요한 국가라고 강조하며, 고객사 투자 속도에 맞춰 기술 지원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6억 유로 투자 후속 조치로 다양한 대형 프로젝트가 지속 발표될 예정"이라며 "한국 업체들이 기술 개발 시간을 앞당길 수 있도록 최대한 측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