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되살아난 '아마존 노조 설립' 불씨…뉴욕서도 투표 진행

지난해 노조 결성 무산된 앨라배마 창고도 재투표

코로나 이후 노동 환경 기준↑…바이든 친노동 정책도 영향

아마존 로고. AP연합뉴스아마존 로고. AP연합뉴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에 노조 설립 바람이 다시 불고 있다. 지난해 사상 첫 노조 설립을 추진했던 미국 앨라배마주의 물류창고 노동자들이 노조 결성을 재추진하는 데 이어 뉴욕 창고에서도 다음 달 노조 설립을 위한 투표가 치러진다.

관련기사



16일(현지 시간) 미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뉴욕 스태튼아일랜드의 아마존 물류창고 ‘JFK8'의 직원들은 다음 달 25일부터 30일 노조 설립에 대한 찬반 투표를 한다. 아마존 대변인 “투표 청원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충분했다는 데 여전히 회의적이지만, 미 노동관계위원회(NLRB)가 투표를 진행하라고 결정한 만큼 우리 직원들의 목소리가 잘 반영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같은 지역의 다른 물류창고인 ‘LDJ5’도 이달 초 노조 설립 투표를 진행하겠다는 청원을 제기한 상태다.

지난 4일에는 앨라배마주 배서머 물류창고에서 노조 설립 투표 절차가 시작됐다. 이 물류창고 직원들은 지난해 아마존 사상 첫 노조를 설립하고자 투표를 진행했으나 전체 직원의 70.9%가 반대해 노조 결성이 무산된 바 있다. 하지만 NLRB는 아마존이 부적절하게 투표를 방해했다고 판정했고, 이번에 재투표가 이뤄지게 됐다. 투표는 다음 달 25일까지 우편으로 진행되며, 다음 달 28일 개표가 시작된다.

최근 노조 결성을 추진하는 미국 노동자들이 늘고 있다. 지난해 12월 뉴욕주 버펄로의 한 스타벅스 매장에서 50년 만에 처음으로 노조가 결성된 것이 대표적이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노동 환경에 대한 기준이 높아졌고,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친노동 정책을 펴고 있는 영향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 7일 백악관은 연방정부가 노조 참여와 단체 협상을 지원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70가지 권고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