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규제 때문에…10명 중 4명 대출 못받아 입주 못해





올해부터 잔금대출도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에 포함되면서 대출을 받지 못해 아파트에 입주하지 못하는 비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은 한국주택협회·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인 주택건설업체 500여곳을 대상으로 지난달 전국 아파트 미입주 사유를 조사한 결과 '잔금대출 미확보' 응답이 38.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고 17일 밝혔다.



세부적으로 보면 분양받은 아파트에 입주하지 못한 10가구 가운데 4가구는 잔금대출을 받지 못해 들어가지 못하는 셈이다.

관련기사



지난해 말부터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정책으로 금융권에서 대출받기가 어려워졌고, 올해부터는 잔금대출도 개인별 DSR 산정에 포함돼 대출 한도가 더욱 줄어들면서 대출을 받지 못해 입주하지 못하는 경우가 여전히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잔금대출 미확보 응답 비율은 처음으로 40%를 넘었던 지난해 12월(40.7%)보다는 소폭 낮아졌다. 잔금대출 미확보 다음으로는 '기존주택 매각 지연'(33.3%), '세입자 미확보'(17.5%), '분양권 매도 지연'(3.5%) 등의 순이었다.

한편 연구원이 이날 발표한 전국 입주경기실사지수(HOSI) 이달 전망치는 76.9, 지난달 실적치는 77.3으로 전달 대비 각각 5.7포인트, 4.0포인트 떨어졌다. 윤종만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작년 말 대출규제 강화 정책에 따른 잔금대출 확보에 대한 우려로 실적치와 전망치 모두 하향세를 보이면서 1년여 만에 70선으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김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