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현대두산인프라, 건설재해 '0' 도전

삼성물산과 자동·무인화 기술 개발

이동욱(왼쪽) 현대두산인프라코어 기술원장과 이병수 삼성물산 사업개발실장이 지난 18일 서울 강동구 삼성물산 본사에서 ‘건설 자동화, 무인화 기술’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두산인프라코어이동욱(왼쪽) 현대두산인프라코어 기술원장과 이병수 삼성물산 사업개발실장이 지난 18일 서울 강동구 삼성물산 본사에서 ‘건설 자동화, 무인화 기술’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두산인프라코어




현대중공업그룹의 건설 부문 계열사인 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삼성물산과 손잡고 건설 현장의 자동화·무인화 기술 개발에 나선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와 삼성물산은 지난 18일 ‘건설 자동화·무인화 기술 상호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국내에서 건설기계 업체와 건설사가 무인 장비 기술 개발에 협력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관련기사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노동인구 감소와 숙련공 부족, 안전 문제 등으로 인해 건설 현장에 선제적으로 자동화·무인화 시스템을 도입해야 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관련 기술 개발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성토작업(흙을 운반해 지반 위에 쌓는 작업)에 쓰이는 불도저·다짐롤러 등의 장비에 적용될 무인화 시스템을 개발해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2019년 시연에 성공한 무인화 기술 ‘콘셉트 엑스’와 3차원으로 현장 정보를 분석하고 장비를 관제할 수 있는 ‘사이트클라우드’ 기술을 기존의 불도저와 다짐롤러에 접목한다는 계획이다.

삼성물산은 수력발전·공항·항만·태양광 등 토목공사를 통해 축적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수의 무인 장비를 운용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을 구축한다.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삼성물산이 시공하는 대형 공사 현장에서 실증을 한 뒤 대규모 댐, 공항, 택지 개발 등에서 주로 활용될 예정이다. 건설 분야 자동화 로봇의 시장 규모는 2020년부터 오는 2027년까지 연평균 23.3%씩 성장해 2027년에는 78억 8030만 달러(약 9조 44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