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우크라發 경제·안보 위기, 비상플랜 총가동해야


우크라이나 사태가 일촉즉발의 위기로 치닫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1일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의 친러 반군 세력이 세운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루간스크인민공화국(LPR) 독립을 승인하고 이 지역의 ‘평화 유지’를 명분으로 병력 파견을 지시했다. 러시아의 이 같은 움직임은 우크라이나의 주권을 침해한 것이어서 양국 간 전면 무력 충돌 가능성이 커졌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에 나서기로 했다.

관련기사



우크라이나 사태의 영향으로 22일 코스피지수는 장중 2700선을 내주며 급락했다. 중국·일본·홍콩 등의 증시도 하락했다. 우크라이나의 무력 충돌이 가시화할 경우 에너지·원자재·곡물 등 글로벌 공급망이 차질을 빚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제 타격은 상당할 것으로 우려된다. 반도체·배터리 등 기간산업이 흔들리고 수출이 위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잖아도 코로나19 탓에 장기 부진의 늪에 빠진 우리 경제가 우크라이나 쇼크로 회복하기 힘든 지경에 이를 수 있다.

안보 상황도 돌아보게 한다. 우크라이나가 위기에 처한 것은 국방력을 키우지 않고 굳건한 동맹을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 중국 눈치 보기를 그만하고 가치를 공유하는 한미 동맹을 굳건히 하면서 자주국방 태세를 확실히 해야 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우리 경제가 불의의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선제적 대응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정부는 분야별로 모든 시나리오를 상정한 매뉴얼을 마련해 컨트롤타워 중심으로 비상 플랜을 가동해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 에너지·원자재 공급망을 점검하고 3개월 연속 이어지는 무역 적자를 만회할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정권 교체기에 비상벨이 울리고 있으므로 여야 대선 후보들도 외부의 메가톤급 쇼크에 곧바로 대응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