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윤동주는 조선족" 한 음식점 사장님 황당 댓글에 '공분'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캡처/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서울의 한 음식점 사장이 독립운동가이자 시인 윤동주가 '조선족'이라는 주장을 펼쳤다는 사연에 네티즌의 관심이 쏠렸다.



21일 다수의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윤동주 시인이 조선족이라는 마라탕집 사장'이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다.

해당 글은 한 배달애플리케이션 내의 한 마라탕 집 후기 글을 갈무리한 것으로 손님 A씨는 "모르겠다. 콴분(중국 넓적 당면)만 너무 많고, 주문한 목이버섯은 별로 없다"며 "대표자분이 중국인인지 모르고 시켜먹었다"고 자신이 남긴 리뷰에서 운을 뗐다.

그러자 해당 식당의 사장은 "우리 매장에서는 가격이 표시되는 전자저울로 재료(무게)를 측정하는 거라 규정에 맞게 일정한 양을 넣어 드렸다"면서 "빈정 상하셨다면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사과의 답글을 달았다.



그러면서 사장은 "저희는 재한 중국동포다"라며 "일제 강점기에 잃어버린 나라를 찾으려고 만주로 건너간 170만 혁명 열사 후예"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사장은 "대한민국은 광복을 맞이했지만 지금 조선족은 민족의 정체성을 없애려는 중국 정부에 맞서 시위하다가 입국 정지됐다"며 "국가 정치적인 문제로 힘겹게 살아가고 있는 조선족 이번 사태의 희생양이 되지 않길 바란다"고도 적었다.

여기에 덧붙여 사장은 윤동주의 '서시'를 인용한 뒤 "일제강점기에 짧게 살다 간 젊은 시인 조선족 윤동주. 고향은 북간도로, 현 중국 길림성 룡정시"라고 썼다.

윤동주 시인은 룽징 명동 마을에서 나고 자랐지만 중학 이후 평양, 서울, 일본에서 활동하며 모든 작품을 한글로 쓴 한국 대표 민족저항 시인이다. 한국 학계에 따르면, 윤동주는 한글로 시를 썼고 조선인으로서의 민족적 정체성이 뚜렷했다.

특히 윤동주는 시 '별 헤는 밤'의 '패, 경, 옥, 이런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라는 대목에서 중국 한족 소녀를 '이국 소녀'로 칭하기도 했는데 이는 윤동주가 자신을 중국인으로 생각하지 않았으며 조선인의 정체성을 갖고있었다는 증거로 풀이된다.

반면 일부 중국인들은 윤동주가 중국에서 태어난 것을 두고 '국적은 중국, 민족은 조선족'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실제 중국 최대 포털인 바이두에 이같이 표기돼 있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두 차례 항의하기도 했다.

해당 사연을 접한 네티즌들은 "과연 중국인들은 어떻게 해야 정신을 차릴까", "윤동주가 조선족이었으면 펜 안 들고 칼 잡았다", "조선족들은 왜 죄다 독립운동가 후손인 척하는가", "본인들한테 좋은 것만 보면 자기 거라고 우기는 게 딱 중국스럽다" 등 질타의 목소리를 이어갔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