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작년 대외채무 6000억달러 '사상최대'…건전성 지표는 개선

기재부, 2021년 말 대외채무 동향 및 평가

장기외채 767억↑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지난해 대외채무가 전년 대비 830억 달러 넘게 증가하면서 연말 기준 처음으로 60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장기외채가 늘어난 반면 단기외채는 감소하면서 대외 건전성 지표는 개선됐다.

관련기사



23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1년 말 대외채무 동향 및 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외 채무는 6285억 달러로 전년 대비 836억 달러 증가했다. 지난해 말 장기외채(만기 1년 초과)는 4622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때보다 767억 달러 늘었다. 단기외채(만기 1년 이하)는 1662억 달러로 69억 달러 늘었다. 기획재정부는 “작년 외채 증가는 외국인 원화채권 투자, 국내기관의 외화채권 발행 등으로 장기외채가 증가한 것이 주된 요인”이라면서 “원화채권 투자자금이 늘어난 것은 우리경제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긍정적 시각이 지속된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채건전성을 가늠할 수 있는 총외채 대비 단기외채 비중은 26.4%로 1년 전보다 2.8%포인트 감소했다. 단기외채 비중이 커지면 우리나라가 외국에 빠르게 갚아야 하는 빚이 그만큼 많아졌다는 의미라 외환건전성에 좋지 않은 징조로 해석된다. 전체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도 35.9%로 0.1%포인트 줄었다.

대외채권은 1조 779억불로 전년 말 대비 502억 달러 증가했다.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금액인 순대외채권은 4494억 달러로 전년 대비 334억 달러 줄었다.


세종=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