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색도 오염원 체계적 관리…한탄강 수계 20곳에 색도 TMS 설치

한탄강 색도 TMS사업 구성도한탄강 색도 TMS사업 구성도




경기도는 올해 한탄강 수계 색도 오염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한탄강 색도 자동측정기기(TMS) 설치·운영 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유네스코(UNESCO)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한탄강의 색도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해 경기 북부 대표 명소로 육성하고자 지난해 5월부터 ‘한탄강 색도 개선 종합대책’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해당 종합대책의 하나로 추진되는 이번 사업은 ‘색도 자동측정기기(TMS)’를 활용한 색도 폐수 배출업소의 효율적 관리를 통해 한탄강 수계 색도 개선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는 이를 위해 올해 총 7억2,6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한탄강 수계 소재 대규모 색도 폐수 배출업소 최종 방류구 등 주요 색도 배출지점에 색도 TMS를 설치, 색도 실시간 감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TMS(Tele Monitoring System)란 환경오염물질을 상시 측정하고 이를 관제센터의 주 컴퓨터와 온라인으로 연결해 오염물질 배출상황을 24시간 상시 감시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올해 사업 대상은 방류수를 하천에 직접 배출하거나 신천·동두천하수처리장으로 보내는 업체 중 1~3종 대형업체 위주로 선정했으며, 동두천 5곳, 포천 3곳, 양주 12곳 총 20곳이 해당한다. 이중 섬유 업체는 16곳, 피혁 업체는 1곳, 공공 하·폐수 처리장은 3곳이다.

해당 대상지를 대상으로 올해 상반기 중 설치를 완료할 예정으로, 이후 9개월간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활용되도록 시범운영을 추진한다. 도는 이번 사업으로 색도 오염원의 조기 사전 차단과 관리, 효율적인 지도점검이 가능해져 색도 배출량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한규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한탄강을 청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민관이 힘을 합쳐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오염원을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며 “한탄강 색도 개선 종합대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이번 사업 외에도 지도점검, 단속활동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