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천리ES-日KHI, ‘수소연료 중소형 터빈 발전기 한국 판매 및 사업개발’ 맞손

삼천리ES가 국내 도입 예정인 일본 KHI의 순수소 연소 GPB17 터빈 발전기. 사진제공=삼천리삼천리ES가 국내 도입 예정인 일본 KHI의 순수소 연소 GPB17 터빈 발전기. 사진제공=삼천리





에너지 솔루션 기업인 삼천리ES가 수소연료 중소형터빈 발전기를 국내 시장에 최초로 도입한다.

삼천리ES는 일본 중공업 기업인 KHI와 ‘수소연료 구동 가스터빈 발전기 한국 판매사업’에 대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의 기술 및 협력체계 구축 △수소연료 터빈발전기 기반의 수소 융복합 사업 개발 △순수소 연소 GPB17 모델, 천연가스 및 수소 혼소 GPB80D 모델의 한국 내 판매 △수소연료 활용한 터빈 발전 사업 발굴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KHI는 세계 최초로 일본 고베시 포트아일랜드 도심지에서 수소연료 구동 중소형 터빈발전기의 실증화를 완료했다. 수소를 활용하는 터빈 발전기는 실증, 검증 등 R&D 차원에서 대부분 수행되고 있으나, KHI는 도심지에서 실증화를 완료하고 일본 내에서 실제 판매까지 진행하고 있다.

삼천리ES는 KHI의 실증화 모델 중 소형 순수소연료 가스터빈발전기 GPB17 1MW급을 국내 도입한다. 해당 모델은 지난 2015년 11월부터 2019년 2월까지 무사고 운전을 달성했으며 실증화 사업에서 발생한 전력과 스팀은 포트아일랜드 내 병원, 스포츠센터, 하수처리장에 공급했다.

특히 해당 모델의 발전기는 수소공급 압력이 16bar로 낮아 도심지에서 수소 전소로도 안정성을 확보한 점이 큰 특징이다. 삼천리ES는 지난 1월 업무협약을 체결한 파나시아의 바이오가스 활용 수소개질 시스템과 연동하며 안정적으로 연속 발전이 가능하다.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중소형 수소연료 터빈 발전기의 한국 내 보급 및 본격적인 상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국내 청정수소발전의무화제도(CHPS) 발효 시에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찬호 삼천리ES 대표는 “삼천리ES가 이번 협약을 기반으로 수소연료 중소형터빈 발전기를 국내시장에 최초로 도입해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