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인수위부터 공동으로"…선거 뒤 합당절차

■尹·安 전격 단일화…'국민통합정부' 운영 어떻게

尹 당선 땐 安에 직위 보장 전망

安도 행정부 입성 의지 드러내

선거 끝나자마자 즉시 합당 추진

지선 공천 놓고 잡음 등은 변수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3일 국회 소통관에서 단일화 기자회견을 마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3일 국회 소통관에서 단일화 기자회견을 마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합의한 국민통합정부는 ‘DJP(김대중·김종필)연합’식 공동정부와 유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안 후보가 박근혜 정부의 김용준 전 총리 지명자처럼 인수위원장직을 직접 맡을 가능성도 점쳐진다. 다만 과거와 같은 단순 연정 모델을 넘어 두 후보가 약속한 합당까지 성사되려면 풀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후보가 당선되면 DJP연합과 유사한 직위를 안 후보에게 보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 후보는 단일화 교섭 과정에서 새 정부 조각을 공동으로 한다는 수준의 공감대는 이미 물밑에서 확인한 바 있다.



1997년 DJP연합이 성사됐을 때 합의 사항은 △초대 국무총리 김종필 자유민주연합 총재 △1999년 12월 말 이전 내각제 개헌 △경제 부처 임명권 국무총리 귀속 △수도권 광역단체장 1명 자민련 공천 등이었다. 제15대 대선에서 승리한 후 김대중 전 대통령은 김종필 당시 자민련 총재를 국무총리에 임명했고 김 전 총리는 합의안에 명시된 경제 부처 관료 지명권을 실제로 행사했다. 안 후보는 윤 후보와 단일화 선언을 발표하면서 “10년간 여러 입법 활동을 했지만 행정 업무는 하지 못했다”며 행정부 입성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관련기사



국민의힘 측 관계자는 “공동정부와 인수위 구성을 같이 한다고 선언한 만큼 DJP연합 외에 다른 선택지가 없다”면서 “안 후보가 과거 김 전 총리처럼 일부 장관을 내정하는 책임총리를 맡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윤 후보 당선 시 안 후보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부터 직접 참여한 후 총리직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김용준 인수위원장을 새 정부 초대 총리로 지명한 사례에서 보듯이 안 후보가 인수위에 참여해 국정 방향의 밑그림을 직접 그릴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은 선거가 끝나면 합당도 신속하게 추진할 방침이다. 다만 합당을 실제 추진하는 과정에서 각종 잡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당내 주요 보직 임명, 오는 6월 지방선거 공천 등을 두고 주도권 싸움이 일어나면 합당은 예상보다 더뎌질 수 있다.

안 후보 역시 국민의힘 내부 개혁에 대한 확고한 입장을 나타냈다. 앞으로의 행보를 묻는 질문에 안 후보는 “일부 작은 기득권 세력만 보호하는 옛날 모습 정당으로는 정권 교체를 하더라도 다시 실패할 수 있다”면서 “우선은 국민의힘을 보다 더 실용적이고 중도적인 정당으로 만드는 일에 공헌하고 싶다”고 말했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