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S&P, 러 신용등급 CCC-로 하향…"디폴트 위험 높아져"

신용등급 전망도 '부정적'

JP모건 "2분기 러 서장률 -35% 기록할 것"

러시아 모스크바 인근의 이케아 매장에서 3일(현지시간) 계산대에 쇼핑객들이 줄을 서 있다. 이케아는 정치적인 압박과 상품 조달 애로 등의 이유로 4일부터 러시아 내 매장을 폐쇄한다. 타스연합뉴스러시아 모스크바 인근의 이케아 매장에서 3일(현지시간) 계산대에 쇼핑객들이 줄을 서 있다. 이케아는 정치적인 압박과 상품 조달 애로 등의 이유로 4일부터 러시아 내 매장을 폐쇄한다. 타스연합뉴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추가로 내렸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S&P는 3일(현지시간) 서방의 제재로 채무불이행(디폴트) 위험이 커졌다며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기존 BB+에서 CCC-로 8단계 하향 조정했다.

BB+는 투자가 부적격하다는 평가다. CCC-는 투자하면 원금과 이자 상환 가능성이 의심스럽다는 평가로 국가부도를 뜻하는 등급인 D보다 두 단계 위다.



S&P는 "이번 강등 조치는 디폴트 위험을 실질적으로 높일 가능성이 있는 조처들이 시행된 데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가혹한 경제 제재에서 루블화 가치를 보호할 목적으로 러시아 당국이 도입한 자본통제 등이 그런 조처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러시아의 신용등급 전망도 '부정적'으로 평가됐다. 이는 앞으로 신용등급이 더 내려갈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S&P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다음 날인 지난달 25일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BBB-'에서 'BB+'로 강등한 바 있다.

앞서 무디스, 피치도 디폴트가 우려된다며 이날 러시아의 국채신용 등급을 투기등급(정크)으로 6계단씩 낮췄다.

피치는 종전 'BBB'에서 'B'로 낮추고 '부정적 관찰대상'에 올렸고 무디스도 'Baa3'에서 'B3'로 하향했다.

이로써 세계 3대 신용평가사로 불리는 무디스, S&P, 피치가 모두 러시아의 잠재적인 부도 위험을 경고하게 됐다.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은 이날 보고서에서 제재 충격 때문에 러시아의 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이 -35%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JP모건은 러시아의 올해 전체 경제성장률을 -7%로 추산하며 1998년 경제위기 수준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