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대선 나흘 앞두고 무력시위한 北…"준중거리 탄도미사일 추정"

우크라이나 전쟁 등 국제적 긴장 속 '존재감 과시' 분석

/연합뉴스/연합뉴스




북한이 남측 대선을 나흘 앞둔 5일 또다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무력시위를 감행했다. 이번 미사일도 엿새 전 '정찰위성 개발용'이라는 명분으로 쏘아 올린 준중거리 탄도미사일(MRBM)과 유사한 기종으로 추정된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8시 48분께 평양시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 순안비행장 일대에서 이동식발사차량(TEL)을 이용해 쏘아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비행거리는 약 270km, 고도는 약 560km로 탐지됐다.



일본의 기시 노부오(岸信夫) 방위상도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의 비행거리는 300㎞, 최고 고도는 550㎞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한국과 일본 정부가 각각 추정한 제원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사거리와 고도 등을 볼 때 지난달 27일 발사한 MRBM 추정 탄도미사일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합참 관계자는 "최근(2월 27일) 발사 제원과 유사하다"며 "탄종 등은 다양한 가능성이 있어서 한미가 정밀 분석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는 서훈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긴급회의를 마친 뒤 보도자료에서 "전례 없이 반복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는 것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임을 지적하고 이를 규탄했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적 긴장이 고조되고 베이징 동계패럴림픽과 국내 대선 일정이 진행되는 등 매우 엄중한 시기"라며 "북한이 추가적인 긴장 고조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북한의 잇따른 무력시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미·러 갈등이 고조되는 등 정세가 불안한 와중에 존재감을 과시하고 대미 협상력을 제고하려는 의도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과거에도 북한이 대선 전후로 무력시위를 한 전례가 있다는 점에서 남측의 정치 일정을 의식했다는 분석도 있지만, 북한이 '국방력 강화'를 천명한 만큼 대외 상황과 무관한 계획된 활동으로 봐야 한다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청와대와 군이 최근 개발 중인 장거리 지대공미사일(L-SAM) 시험발사 장면을 비롯한 각종 대북억제 전력 영상을 공개한 데 대한 '맞불' 성격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미 군 당국은 이번 미사일 발사의 징후도 사전에 포착해 주시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