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홍콩 코로나 의료체계 마비에 '전폭 지원' 나서

홍콩, 두달만에 40만명이 감염·1500명 사망

코로나19 환자 임시 격리시설 설치하는 홍콩. /로이터 연합뉴스코로나19 환자 임시 격리시설 설치하는 홍콩. /로이터 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갑작스러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폭증으로 의료체계 한계에 도달한 홍콩에 임시 병원 9개를 건설해 총 5만개의 병상을 제공한다. 중국 정부는 이 같은 계획에 따라 지난 6일 국영 건설사 소속 직원 1900명을 파견해 1000개 병상 규모의 임시 병원 건설을 시작했다.



인구 740만명인 홍콩은 작년까지 2년 간 코로나19 누적 환자가 1만 2000명 대였고 사망자는 200여명이었다. 그러나 올해 들어 오미크론 변이와 함께 시작한 5차 확산으로 두 달 만에 40여만 명이 감염되고 1500여명이 사망하며 의료체계가 한계에 다다랐다.

관련기사



홍콩의 방역 체계가 사실상 마비되자 중국 최고 지도부는 중국 최대 연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홍콩 방역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중국 관영통신 신화사는 7일 홍콩 사무를 총괄하는 한정(韓正) 중국 부총리가 전날 홍콩·마카오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연합회 위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홍콩 정부는 주체적으로 책임을 다해야 하고, 중앙 정부의 각 관련 부서와 지방 정부도 전력을 다해 홍콩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한 부총리는 "중앙은 최선을 다해 물자 공급을 확보하고, 의료체계를 강화해 세부적인 방역 조치를 시행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코로나19 대응 전문가팀 수장인 량완녠(梁萬年) 칭화대 교수는 강제 전수 검사 등 중국 당국이 제안한 방역 조치에 대한 홍콩 내 거부감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중국 당국이 강제 전수 검사와 병행해 도시 봉쇄를 해야 통제할 수 있다는 견해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져 홍콩이 대혼란에 빠진 상태다.

량 교수는 글로벌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홍콩의 각계각층이 함께 공중 보건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면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때가 아니다"고 촉구했다. 이어 그는 "중국 전문가팀은 앞으로도 홍콩 정부 관련 부서 및 전문가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홍콩 정부가 방역 정책을 결정하는 데 참고가 되도록 권고와 의견을 제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수정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