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한경연 “보유세 급등에 임대료 부담…올해도 전세 시장 혼란”





종합부동산세 등 급격한 보유세 인상으로 임차인 임대료 부담이 가중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7일 ‘보유세 인상이 주택 임대료 상승에 미친 영향 분석’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 전셋값 급등과 전세 물량 감소가 두드러졌다. 2016∼2019년 3% 미만의 상승률로 안정적이던 서울의 주택 전셋값은 2020년 들어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하며 최근 2년간 23.8% 올랐다.

관련기사



주택 임대차 시장 불안의 원인으로는 주택가격 급등, 임대차 3법 시행, 보유세 급격한 인상 등이 지목됐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보유세 인상이 다주택 보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강조하는 동시에 주택 보유 시의 수익률을 낮춰 주택 수요를 위축시키려는 목적이었으나 결과는 반대로 나타났고 주택가격은 오히려 더 가파른 급등세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한경연은 올해도 전세시장의 혼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주택구매 포기 가구 증가가 전세 수요 확대로 이어지는 가운데 올해 하반기에는 임대차 3법 시행 2년째를 맞아 계약갱신청구권 행사로 전세 물량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한경연은 이로 인한 피해가 부유층보다는 무주택·서민층에 집중될 것이라며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시장 균형을 인위적으로 왜곡하는 수요억제 정책은 그간 예외 없이 실패했고, 그 결과로 특정 지역의 가격이 폭등하고 계층 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됐다는 것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강해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