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분사 1년' 티맵 아쉬운 성적표…"초기 투자 집중"

지난해 11·12월 당기순손실만 200억

대리·택시 모두 카카오 아성 이기지 못해

같은 기간 카카오모빌리티는 첫 흑자전환





지난 2020년 12월 SK텔레콤(017670)으로부터 분사한 티맵모빌리티가 수 백 억원의 적자를 내며 아쉬운 성적을 거뒀다. 내비게이션 외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선보였지만 카카오모빌리티의 아성을 넘기엔 역부족이었다는 평가다. 같은 기간 카카오모빌리티는 처음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티맵모빌리티의 지난해 11월~12월 매출은 252억, 당기순손실은 243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1일을 기점으로 SK스퀘어(402340) 자회사로 이관됨에 따라 4분기 중 10월 실적은 공시에 반영되지 않았다. 다만 티맵은 연간으로도 수 백 억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된다. 티맵은 지난해 3분기(9월 30일)까지 누적 당기순이익 230억을 기록했으나, 이는 상반기 우티 현물출자에 따른 자산 처분이익이 회계적으로 반영된 착시 효과다. 티맵 측은 “3분기에 실제로는 146억원 정도 손실을 봤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현재는 분사 초기인 만큼 적자는 예견된 수순이었다. 다만 문제는 신규 서비스들의 성과가 기대보다 부진하다는 점이다. 티맵은 지난 7월 대리 서비스를 출시했지만, 기존 강자인 카카오와 콜업체 등에 밀려 점유율은 1%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버와 손잡고 내세운 ‘우티’ 택시도 카카오 독점에 균열을 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지난 4월 출범한 우티는 할인 공세로 이용자 유치에 힘썼지만 지난해 11월 50만명이던 월간활성이용자(MAU)는 12월(52만)에 잠깐 증가했다가 1월(49만), 2월(47만)에는 지속 감소세를 보였다. 2월 MAU는 같은 기간 카카오 T의(979만)의 5%에 그쳤다.

반면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매출 5465억, 당기순이익 271억원 기록하며 창사 이래 최초로 흑자 전환했다. 다만 카카오도 마냥 웃지 만은 못하는 상황이다. ‘골목상권 침해’ 논란과 카카오페이의 ‘상장 후 먹튀’ 논란으로 상장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차두원 모빌리티연구소장은 “모빌리티 업계는 규제로 인한 불확실성이 큰 업종이라 상장까지 유독 우여곡절이 많다”고 설명했다.

정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