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코로나 돌봄공백에…경단녀 늘었다

여성 육아 전담비율 남성의 3배

코로나 전보다 女실업자 510만명↑


코로나19 사태로 노동시장을 떠나는 여성들이 늘면서 여성의 고용 환경이 악화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삼일PwC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3개국 여성의 고용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한 ‘여성 고용환경지표’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상승세를 이어가던 OECD 내 여성 고용 관련 지표는 코로나19가 강타한 2020년 처음으로 하락했다. 2020년 여성 고용환경지표는 당초 65.9로 예측됐지만 실제 지표는 64로, 전년보다 0.5 감소했다.

관련기사



지표 하락의 주 요인으로는 코로나19 기간 나타난 높은 여성 실업률과 여성의 낮은 노동시장 참여율이 꼽혔다. 삼일PwC가 추정한 결과 코로나19 이전보다 여성 실업자는 510만 명 증가했고 노동시장에 참가하는 여성의 수는 520만 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노동시장을 이탈하는 원인은 코로나19로 육아와 가사 노동에 대한 여성의 책임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기간 학교 또는 보육 시설 폐쇄로 인해 자녀 돌봄 의무를 여성이 전담한 비율이 남성보다 3배 더 높았다.

PwC는 여성과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간 격차 해소에 최소 30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또 남녀 성별 임금 격차 해소는 최소 63년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