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대출 규제·금리 인상에 은행 가계대출 석 달 연속 감소

3개월 연속 감소는 통계 이후 처음

주담대 1.8조 증가에 기타대출 1.9조 감소





금리 상승과 가계대출 규제 영향으로 은행의 가계대출이 지난해 12월부터 석 달 연속으로 감소했다. 가계대출이 3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지난 2004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2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060조 1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1000억 원 감소했다. 지난해 12월(-2000억 원)과 올해 1월(-5000억 원)에 이은 석 달째 감소세다. 2월 기준 가계대출이 줄어든 것 역시 2004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이 줄어들면서 전체 가계대출도 감소했다. 기타대출은 전월 대비 1조 9000억 원 줄면서 2월 기준으로는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 감소했다.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대출금리 상승, 은행권의 신용대출 관리 지속, 주식 등 투자자금 수요 둔화 등으로 3개월 연속 줄었다.

관련기사



주택담보대출은 전월 대비 1조 8000억 원 증가하면서 전월(2조 2000억 원) 대비 증가 폭이 축소됐다. 전세나 집단대출 관련 자금 수요는 여전하지만 주택매매거래가 둔화되면서 증가 규모가 소폭 줄어든 것이다. 황영웅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2월 가계대출 감소는 은행권 신용대출 관리에 상당히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은행 기업대출은 전월 대비 6조 3000억 원 증가했다. 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등 계절적 요인이 사라지면서 증가 폭이 전월(13조 3000억 원) 대비 축소됐다. 다만 2017년~2020년 2월 평균 증가 규모(4조 2000억 원)를 여전히 웃도는 수준이다. 시설자금이나 코로나19 관련 자금 수요가 계속되면서 중소기업 대출이 전월 대비 5조 6000억 원 늘었기 때문이다. 대기업 대출은 7000억 원 증가에 그쳤다.

반면 은행 수신 잔액은 2144조 7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25조 7000억 원이나 증가했다. 지난 1월 17조 1000억 원 감소에서 큰 폭으로 증가 전환한 셈이다. 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 여유자금이 유입되면서 수시입출식예금이 21조 4000억 원 증가했다. 정기예금은 지자체 자금이 유입된 가운데 일부 은행의 기업자금 유치 노력, 예금금리 상승 등으로 7조 2000억 원 늘었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2조 9000억 원 증가하면서 전월(26조 6000억 원) 대비 소폭 증가에 그쳤다. 머니마켓펀드(MMF)는 은행의 단기자금 유입에도 정부 운용자금 유출로 3조 8000억 원 줄었다. 반면 기타 펀드는 4조 원, 채권형 펀드는 1조 9000억 원, 주식형 펀드도 1조 3000억 원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주식형 펀드는 우크라이나 사태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한 북미 지역 투자 펀드를 중심으로 늘었고, 채권형 펀드는 안전자산 선호 강화 등으로 자금이 유입됐다”고 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