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여가부 폐지 아닌 강화해야"…129개 여성·시민단체 촉구

2022 페미니스트 주권자행동이 11일 서울 광화문 파이낸스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김태영 기자2022 페미니스트 주권자행동이 11일 서울 광화문 파이낸스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김태영 기자




여성계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여성가족부 폐지와 성폭력 무고죄 신설 등 젠더 갈등을 부추긴다는 비판을 받은 공약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129개 여성·시민 단체 연대체인 ‘2022 페미니스트 주권자행동’은 11일 서울 광화문 파이낸스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대선에서 20~30대 여성이 윤 당선인을 외면한 것은 혐오를 등에 업고 여성의 삶을 묵살한 결과”라며 “성평등 사회를 만드는 것이 대통령의 책무임을 알고 본연의 역할을 다하라”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이날 발언자로 나선 양이현경 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는 “이번 대선에서 (정치인들은) 여성들을 유권자로 취급하지 않았다”며 “그 결과 큰 격차로 승리를 예상했던 것과 달리 역대 최소 차로 간신히 이겼다”고 지적했다. 양 대표는 “여성가족부를 강화하고 모든 부처에 성평등 담당 부서를 설치해야 한다”며 “일터·가정·학교에서 발생하는 성차별과 폭력을 해결하기 위해 법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위순복 꿈누리여성장애인상담소 활동가는 “대통령으로서 어느 한 사람 빠짐없이 평등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윤 당선인은) 차별을 강화하고 용인하는 선거 캠페인을 펼쳐왔다”며 “정권 교체라는 높은 열망에도 불구하고 0.73%포인트라는 근소한 차로 제20대 대통령이 선출된 민심의 의미가 무엇인지 잘 헤아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원하는 건 남성의 패배가 아니라 성평등 실현”이라며 “더 이상 정치적 수단으로 페미니즘을 이용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앞서 선거 과정에서 윤 당선인은 여가부 폐지 및 성폭력 무고죄 신설 공약을 강조하고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고 발언해 선거 전략으로 젠더 갈등을 이용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윤 당선인이 지난 10일 기자회견에서 “성별 갈라치기를 한 적 없다”고 부인한 가운데 조만간 출범할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정부 조직 개편 논의 과정에서 여가부 폐지 또는 기능 통합·강화 방안이 검토될 예정이다.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