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이번주 ICBM 발사 우려 확산… 美, 중국 통해 압박 ↑

성김 美 대북특별대표, 류샤오밍 中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유선협의

김 대표 "미중은 역내 안보의 공동이해국… 北 공개규탄 참여해달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수 있는 서해위성발사장을 방문해 현지 지도를 하고 있다./연합뉴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수 있는 서해위성발사장을 방문해 현지 지도를 하고 있다./연합뉴스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위험이 고조되자 미국이 중국에 규탄 동참을 요청했다. 한미일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공동 대응하고 있는 만큼 중국의 참여를 끌어내 북한을 억제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14일 미국 국무부에 따르면 성 김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과 관련 중국 정부에 규탄 참여를 촉구했다. 김 대표는 류샤오밍 중국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지난 10일 전화통화를 했고 이 같은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통화는 지난달 26일과 이달 4일 북한의 신형 ICBM 성능시험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이뤄졌다는 것이 미 국무부의 설명이다. 김 대표는 통화에서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발사는 대량살상무기와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을 진전시키고 긴장을 고조하려는 북한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류 대표에게 우려를 표했다. 그는 또 “미·중 양국은 역내 안보에 있어 공동의 이해관계를 나누고 있다”며 “중국이 북한의 미사일 시험에 대한 공개 규탄에 동참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와 함께 북한이 대화의 장에 앉을 수 있도록 중국 정부가 설득해달라고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앞서 이달 초 노규덕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도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관련 유선 협의를 진행했다. 한미 대표는 북한이 국제사회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고 반복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을 규탄했다. 또 한미 간 연합 방위태세를 유지하고 북한이 상황을 추가로 악화시키지 않도록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대북 전문가는 김 대표의 이 같은 행보와 관련 북한의 ICBM 발사가 임박해지자 중국을 통해 북한을 억제하려는 의도가 담겼다고 풀이한다.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이 이르면 이번 주 ICBM을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한 대북 전문가는 “북한은 정찰위성 개발을 명목으로 내세운 만큼 ICBM 발사를 강행할 것”이라며 “현 상황에서 북한을 억제할 수 있는 유일한 주체가 중국인 만큼 한미가 중국에 SOS를 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