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매체 "김치·한복 논쟁 가치없다"…서경덕 "문제의식 없어"

환구시보 "한복·김치 논쟁 근본 원인, 두 나라 역사·문화 기원 같아서"

서경덕 "중국 공산당의 '나팔수' 역할을 하는 언론" 지적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 사설에는 한복과 김치 논란에 대해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 사설에는 한복과 김치 논란에 대해 "논쟁은 가치 없다"고 적힌 내용이 담겼다/환구시보 캡처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한복과 김치 논쟁은 가치가 없다”는 사설을 실은 중국 관영매체를 향해 “상대 국가의 문화와 역사를 존중하라”고 일갈했다.



서 교수는 15일 자신의 SNS를 통해 "최근 중국의 관영매체 환구시보에서 한국 대통령 선거와 관련해 '중한관계는 후진이 아닌 전진이 필요하다'는 사설을 내보내며 '한복과 김치 논쟁은 가치가 없다'고 또 도발했다"고 적었다.

관련기사



해당 사설에 따르면 "김치 논쟁은 두 나라 사람들의 기싸움으로 형성된 거대한 거품 같다. 논쟁의 근본 원인은 두 나라의 역사와 문화의 기원이 같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김치와 한복 논란이 '역사와 문화의 기원이 같은 두 나라 국민들간의 감정싸움일 뿐'이라는 뜻으로 이 관영매체는 한국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여전히 인정하지 않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환구시보는 중국 공산당의 ‘나팔수’ 역할을 하는 언론”이라면서 “이 매체가 ‘한중관계는 전진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치면서, 한국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여전히 인정하지 않고 있는건 근본적인 문제의식이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서 교수는 “진정한 한중관계의 미래를 논하고 싶으면 ,상대방 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먼저 존중할 줄 아는 자세를 배워야만 한다”며 “이번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우리는 중국의 왜곡에 분노만 할 것이 아니라, 우리 문화와 역사를 스스로 지켜나갈 수 있는 힘을 더 키워나가야만 할 것”이라고 적었다.

지난달 4일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중국 오성홍기를 전달하는 중국 내 56개 민족 대표 중에 한복을 입은 여성이 조선족 대표로 등장했다/연합뉴스지난달 4일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중국 오성홍기를 전달하는 중국 내 56개 민족 대표 중에 한복을 입은 여성이 조선족 대표로 등장했다/연합뉴스


김치와 한복 등 한국의 고유문화를 중국이 자국 문화로 전유하려는 시도가 잇따르고 있다. 중국에서는 한국의 전통 의상인 한복을 ‘한푸(?服)'라고 부르며 한족의 전통 의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4일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중국 오성홍기를 전달하는 중국 내 56개 민족 대표 중에 한복을 입은 여성이 조선족 대표로 등장해 논란이 일었다. 또 중국에서는 한국의 김치를 ‘파오차이’라고 부르며 자국의 채소 절임인 파오차이가 국제표준화기구로부터 인증을 받았고, 김치의 시초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지선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