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외교부청사냐 국방청사냐…尹 집무실 두 곳으로 압축

'외교부 청사-삼청동 총리공관' 카드도 고려

정부청사 경호 등 문제…이번주內 결론날듯

15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연합뉴스15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집무실이 서울 광화문 외교부 청사와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압축됐다. 당초 대통령의 공간으로 지목됐던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는 후보지에서 배제됐다.



15일 청와대 개혁 태스크포스(TF)의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은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대통령 집무실은 용산구 국방부 청사나 광화문 외교부 청사 두 곳 중 한 곳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 청사가 선택되면 한남동 외교부·국방부 장관 공관이, 외교부 청사 선택 시 삼청동 국무총리 공관이 대통령의 관저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관련기사



앞서 윤 당선인은 "청와대를 국민에게 돌려주고 새 대통령실은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 만들겠다”고 밝혀 왔다. 실제 당선 이후에도 정부서울청사 9층 총리실이 대통령의 공간으로 유력하게 검토됐다. 하지만 정부서울청사가 보안상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후보지에서 배제되고 국방부 청사와 외교부 청사가 경합을 벌이게 됐다.

특히 국방부 청사는 주변에 고층 빌딩이 없어 외부 차단이 용이하고 헬기장, 지하 벙커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광화문보다 후한 점수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용산 미군기지 부지가 공원으로 전환되면서 ‘국민과 함께 일하는 대통령’이라는 집무실 이전 취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 기존 청와대를 시민들에게 완전 개방할 경우 그 지하의 벙커를 유지하지 않고 국방부 청사와 연결된 지하 벙커를 유사시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함께 고려된 것으로 분석된다. 외교부 청사에 대통령이 들어가면 직원들은 근처 빌딩으로 둥지를 옮기고 여유 공간이 충분한 국방부는 이전이 필요 없다.

윤 의원은 최근 대통령 경호처장으로 유력한 김용현 전 합참 작전본부장과 함께 집무실과 관저 후보지들을 직접 방문해 둘러본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윤 당선인 측은 이날부터 이틀간 국방부, 외교부, 경호 전문가 등과 실무 회의를 연 뒤 이번 주 내로 최종 결정을 내릴 방침이다. 오는 5월 10일 대통령이 취임과 동시에 새 공간에서 업무를 시작하려면 직원 이동, 리모델링 등의 기초 작업이 필요해 시간이 빠듯하다는 설명이다. 윤 의원은 “현 시점을 놓쳐 버리면 취임에 맞춰 이사를 못 할 수 있어 서둘러야 한다”며 “늦어도 다음 주초까지는 대통령실 집무실 위치를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승배 기자·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